ETRI는 3D 프린팅을 만들기위해 대상물을 스캔하고, 수작업으로 3D 콘텐츠를 개발하는 복잡한 과정을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인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일반인도 쉽게 사용가능한 3D프린팅 콘텐츠 제작 기술과 3D프린팅 시뮬레이션 도구, 3D 스캐닝 도구는 4일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개최된‘K-ICT 3D Printing Conference 2015’에서 공개했다.
ETRI가 개발한 기술은 ‘콘텐츠 저작, 시뮬레이션, 3D 스캐닝 SW’로 비전문가라도 자신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간편하게 3D로 출력할 수 있다. 실제 스크롤바만 움직여도 원하는 모습의 3D가 가능해지고 모바일로도 지원이 가능하다.
3D프린팅 콘텐츠 저작 도구는 대상물을 PC로 불러와 개인의 스타일에 맞게 깎고 다듬는 일종의 편집 SW로 디자이너의 창의적 디자인에다 수학적 방법(비선형 변형)을 이용,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ETRI는 본 기술을 이용하면 일반인도 단순한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스크롤바로 조작함으로써 스타일, 높이, 넓이 등의 정해진 대상 모델 속성을 손쉽게 변형할 수 있으며 3D 모델 출력물의 내구성, 안전성도 자동 검증해준다.
또한 사용자정보 및 데이터 관리도 가능해 서버와 사용자간 서비스도 지원하며 3D 프린터용 객체 라이브러리까지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비행기, 코끼리, 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대상을 골라 3D 프린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서버도 연동되니 3D로 만든 제품을 웹에 쉽게 올릴 수 있게 된다. 일반인들도 3D 모델링과 저작편집의 길이 활짝 열리게 된 것이다.
ETRI 최진성 융복합콘텐츠연구부장은 “개발된 기술을 모바일 앱과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로 일반인에게 공유할 계획이며, 학교 등에서 일반인과 학생들에게 3D 스캐닝에서 저작, 출력까지 가능한 학습 교보재로 사용될 예정이다”고 말했다.
한편, ETRI는 본 기술이 미래창조과학부‘3D 프린팅을 위한 실물정보 기반 3D 콘텐츠 생성 및 편집기술 개발’의 지원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