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5-11-17 15:50:33
기사수정

▲ 한국기계연구원 LNG·극저온기계기술 시험인증센터 전경.

우리나라의 주요 수주선종인 LNG선박의 핵심 기자재 성능평가 전문기관이 국내에 설립돼, 해외 인증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기계연구원(원장 임용택)은 국내 LNG·극저온산업 육성을 위해 경상남도, 김해시 등과 함께 추진해 온 LNG·극저온기계기술 시험인증센터 개소식을 지난 17일 김해시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센터는 김해시 주촌면 김해일반산업단지 내 1만3,220㎡ 부지에 연구동 및 제어동(건축면적 3천 459㎡)과 시험설비(8,950㎡)가 구축됐다. 2008년부터 총 사업비 420억원이 투입돼 2014년 말 준공됐다.

센터는 국내 최초로 건립된 LNG·극저온분야 기자재 전문 시험인증 기관으로 LNG, 액화질소 등 극저온 유체를 사용하는 밸브와 펌프 등이 극저온(최고 -163℃ 이하)에서 견딜 수 있는지에 대한 품질인증을 담당하게 된다. 센터는 최신 장비구축 및 연구 실험을 통해, 국제공인 시험인증(KOLAS) 및 국제 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관련 산업 기술지원 및 극저온용 기기개발업무 등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우리나라는 세계 LNG선박 수주의 80% 이상을 확보하고 있고 특히, 경남 지역은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등이 국내 수주의 70% 이상을 도맡고 있으나 LNG선박 핵심기자재 국산화율은 20%에 못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조선해양 기자재 업체들은 국내에 관련 기기 성능평가기관이 없어 미국, 일본 등 외국에서 인증을 받기 위해 엄청난 시간과 막대한 경비부담으로 큰 어려움을 겪어 왔다.

기계연은 이번에 센터 개소를 계기로 국내 LNG선박 및 극저온 기자재업체들이 국내 인증이 가능해지면서 연간 약 440억원의 해외 인증비용 절감을 포함해 극저온 시험인증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등 매년 총 약 650억원 이상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고부가가치 핵심기자재의 국산화율을 높이고 관련 중소·중견 기업의 산업 발전으로 인한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임용택 한국기계연구원장은 “우리나라는 핵심기자재 생산업체 대부분이 중소기업으로, 고가의 시험장비 구축과 시험평가, 국제공인인증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며, LNG·극저온기계기술 시험인증센터 출범으로 핵심기자재 시험인증 및 기술개발과 핵심기자재의 국산화가 쉬워져 현재 난황을 겪는 국내 조선해양산업 위기극복과 LNG·극저온기계산업의 경쟁력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2776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