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유통관리업무 위탁자의 약사 의무고용 완화 등 헬스케어 산업의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는 26일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제3차 헬스케어산업위원회(위원장 : 이재화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이사장)’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현황 및 시사점에 대한 현안 발제에 대해 토론하고 △의약품 유통관리업무 위탁자 인력기준(약사 의무고용) 완화가 조속히 시행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심층 논의했다.
박순만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단장은 “스마트폰 대중화, 의료비 절감, 의료이용의 불편을 감안하면 디지털 헬스케어의 성장은 당연하다”며 “우리나라가 비록 선진국과 상당한 격차는 있으나, IT기술 활용여건이 뛰어나고, 양질의 보건의료 빅데이터와 전국민 의료서비스 접근성을 바탕으로 급속한 산업발전과 시장창출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건강보험DB 기반의 개방형 플랫폼을 구축하고, 인센티브 기반의 보험료 절감제도 도입, 만성질환에 대해 체계적인 예방진료 서비스 제공을 통해 헬스케어산업 육성을 꾀해야 한다”고 밝혔다.
고용규 한국의약품유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의약품 유통관리업무를 위탁하는 의약품 도매상의 약사 의무고용은 필요성이 적으므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의약품 유통관리업무는 수탁사가 전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이며 어려운 경영여건 상 약사 의무고용이 비용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고 신규 도매상이나 지방의 경우 약사 채용이 쉽지 않아 약사 면허 대여의 불법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또한 물류시설 중복투자 방지와 물류관리 효율화 차원에서 도입한 ‘의약품 도매상 위수탁 제도’ 활성화가 긴요하며, 정부가 지난해말까지 추진완료키로 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더욱이 근거법률인 ‘약사법 개정안’이 발의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회부돼 있는 상황에서 조속한 국회 통과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재화 위원장은 “다른 모든 분야도 그렇겠지만 헬스케어가 첨예한 이해관계로 대립하고 갈등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장기적 안목의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개선이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중소기업계 차원의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