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들은 이미 해당 산업 내에서 이미 최상위 업체로 성장했음에도 여전히 영세 중소기업들을 위해 할당된 공공조달시장 물량까지 침해하려는 시도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가 2016년도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지정과 관련해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정보망(www.smpp.go.kr)을 통해 공개한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지정반대 현황에 따르면 중견기업들이 반대한 제품은 아스콘 등 34개 제품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지정 반대와 관련해 중견기업들이 내세운 대표적 이유는 ‘품질향상’ 필요로 중소기업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중견기업들이 중기조달시장에 참여해야 한다는 점을 내세웠다.
반면에 중견기업 반대 제품에는 콘크리트 파일과 아스콘, 강관 등 표준규격 제품으로 기업간 품질차이가 거의 없거나 주스나 빵, 소시지처럼 민수시장이 대부분으로 중소기업들이 브랜드 파워에서 밀릴 수밖에 없는 제품들이 다수 포함돼 있었다.
특히 개인용 PC나 공기조화기, 계장제어장치 제품의 경우에는 삼성, LG같은 국내 굴지의 대기업들까지도 중소기업시장 침해를 시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중기중앙회 양갑수 판로지원부장은 “수십에서 수백 개에 이르는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지정을 추진함에도 1∼2개 중견기업의 반대 설득을 위해 몇 달의 시간을 소모했었다”며 “중견기업들이 기업가정신을 발휘하여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기보다는 국내 중소기업들을 상대로 손쉽게 조달시장에 안주하려는 경향이 많아 중소기업들의 우려가 크다”고 전했다.
또한 “중소기업실태조사를 통해 공공조달 납품실적이 있는 2만여 중소기업을 분석한 결과 기업 규모가 클수록 공공납품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고, 공공납품 비중이 높은 기업일수록 영업이익률과 설비투자효율, 연구인력 비중 및 장기근속자 비중이 높아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제도가 영세 중소기업들의 경영안정과 경쟁력 강화에 긍정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조만간 세부 분석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