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공기술을 전반으로 창업하는 연구소 기업을 1,000개로 확대하고 연구개발특구 내 기업들의 매출은 100조원까지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연구개발특구 육성 및 지원을 위한 향후 5년 간의 정책방향과 특구별 추진계획을 담은 ‘제3차 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계획(2016∼2020)’을 수립하고, 22일 제20차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공공연구성과 사업화와 산․학․연 협력을 목적으로 지정된 연구개발특구가 정부․지자체 간 협력, 융복합 신기술사업화 중점 지원으로 2020년까지 공공기술로 창업하는 연구소기업이 89개(2014년말)에서 1,000개로, 기술이전액이 연간 765억원에서 1,500억원으로, 특구내기업 매출이 39조원에서 100조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는 이를 위한 ‘제3차 종합계획’으로 ‘연구성과 사업화 기반 미래 성장 선도지역으로 도약을 3대 정책과제(10개 중가제 및 33개 소과제)로 △ 특구 성장 환경의 최적화 △ 전략적 공공기술 사업화 △ 지역의 성과확산 체계 구축에 중점을 두고 과제를 시행할 예정이다.
우선 공공연구성과 및 지역 전통 강점을 바탕으로 특구별 특화분야 조정을 통해 지정요건 강화와 개발방식의 고도화로 제도 전반의 정비 추진을 통해 최적화된 특구 성장 환경을 위해 힘쓴다.
또한 기업의 창업, 입주부터 성장까지 종합 지원체계 마련을 통해 융복합 기술을 중심으로 사업화 생태계를 조성해 전략적인 공공기술의 사업화를 노린다.
뿐만 아니라 특구 육성사업에 대한 지자체의 참여 확대를 통해 특구와 과학벨트간의 연계 강화, 추가 특구등 각 지역으로의 연구성과 확산 체계 구축에 나선다.
미래부는 동 종합계획의 내실 있는 추진을 위해 향후 5년간 매년 특구육성사업 시행계획을 충실히 수립하고 세부과제가 차질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점검해 나갈 계획이다.
최양희 장관은 “지역의 좋은 일자리 창출 및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연구개발특구 역할이 강화되어 온 점을 반영하였으며, 계획의 이행을 통해 기술사업화가 보다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연구개발특구위원회는 미래부장관이 위원장으로서 기재부 등 9개 중앙행정기관 차관 및 민간위원 9명, 총 19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번에 민간위원 6명이 새롭게 위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