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6-03-21 10:37:25
기사수정

▲ LME비철금속가격(단위 : 달러/톤).

3월 둘째 주 비철금속가격은 품목당 등락을 달리하며 기술적인 하락세의 영향으로 약세를 보였다.

조달청이 3월15일 발표한 ‘주간 경제·비철금속 시장동향’에 따르면 LME LMEX는 2,328.7를 기록해 전주 대비 1.72% 증가했다.

지난주 LME시장은 기술적인 하락세의 영향으로 약세를 보였다. 특히 니켈(-3.1%), 아연(-2.5%), 알루미늄(-2.4%) 등의 하락폭이 컸다. 반면에 주석(0.7%), 구리(0.5%) 등은 강보합세를 나타냈다.

알루미늄 가격은 약세를 보이며 전주 대비 2.46% 감소한 1,548.5달러를 기록했다. LME재고는 8만6,050톤 증가한 288만4,300톤을 기록했고, 상해재고는 9,498톤 증가한 33만9,263톤을 기록했다. 인출예정창고증권 비율(Cancelled Warrant Ratio)은 2% 감소한 19.94%를 기록했다.

중국의 2월 중 알루미늄 제품 수출량은 28만톤으로 전월 대비 26% 가량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글로벌 수요 둔화와 전년도 말부터 진행된 알루미늄 생산 업체들의 감산으로 인해 중국의 알루미늄 수출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중국산 알루미늄 제품 수출이 축소되면 유럽지역의 알루미늄 프리미엄이 반등하는 계기가 될 수 있어 보인다. 2014년 말에 시작된 알루미늄 프리미엄 하락세는 유럽지역 프리미엄 급락부터 시작됐고, 그 이면에는 중국의 적극적인 알루미늄 수출 압력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구리 가격은 유가 상승 및 달러화 약세 등의 영향으로 전주대비 0.47% 상승한 4,941달러를 기록했다. LME 창고재고는 1만725톤 감소한 17만5,975톤을 기록했고, 상해재고는 4만5,032톤 증가한 35만138톤을 기록했다. CW는 3.49% 증가한 29.21%를 기록했다.

블룸버그(Bloomberg)는 중국 전략비축국(SRB)이 올 들어 약 15만톤 규모의 구리를 매집한 것으로 보도했다. 또한 보도에서 중국 정부주도 하에 구리 시장의 자본재조정(rebalnacing)이 이뤄지고 있으며, 광산업체들의 감산으로 인해 올해 시장은 소폭 초과수요를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Bank of America), 메릴 린치(Merrill Lynch) 역시 최근 분석에서 구리시장의 초과수요를 전망하고 있지만 중국 주택시장의 침체된 분위기로 인해 초과 수요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납 가격은 지난주 급증에서 약보합세로 전환되며 전주대비 0.49% 감소한 1,840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전주대비 3만8,975톤 감소한 16만9,450톤을 기록했고, 상해재고는 3,597톤 증가한 1만9,137톤을 기록했다. CW는 5.97% 감소한 40.03%를 기록했다.

메탈 불레틴(Metal Bulletin)의 견해에 따르면, 납은 그 동안 다른 비철금속의 상승과 연동되어 랠리를 보이며 지난 2월 고점인 톤당 1,865달러를 상향 돌파했다. 반면에 이와 같은 급등세는 새로운 매도 기회로 투자자들에게 인식되고 있다. 수급상황으로 타 비철금속 대비 하락폭은 제한적일 가능성도 높다. 또한 납 스프레드 다시 타이트해지고 있으며 납 재고도 16만9,450톤으로 하락했다. 이중 약 50%에 해당하는 부분이 취소된 상황이다. 심지어 가용재고 중 50∼79%를 한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연 가격은 최근의 상승세에서 하락세로 전환되며 전주 대비 2.56% 감소한 1,792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3,250톤 감소한 46만2,250톤을 기록했고, 상해재고는 5,157톤 증가한 26만6,277톤을 기록했다. CW는 2.33% 감소한 13.11%를 기록했다.

플랫(Platts)에 따르면 아연 광산업자들은 TC/RC를 낮추는 데 어느 정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작년 말부터 시작한 주요 아연 광산 감산으로 인해 아연 정광(Concentrate)의 공급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정련 아연의 공급도 향후에는 부진한 양상을 띨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주석 가격은 8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전주 대비 0.74% 상승한 1만7,075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200톤 증가한 3,905톤을 기록했고, CW는 1.10% 감소한 10.37%를 기록했다.

메탈불레틴(Metal Bulletin)은 최근 주석 재고감소로 가격이 상승했지만, 톤당 1만7,350달러 수준의 가격은 펀더멘털 대비 과도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현재 LME재고는 3,900톤 수준으로 2008년 11월 3,010톤 대비 10년래 최저수준이다. 이러한 낮은 재고수준이 현재의 가격상승과 연동되기는 다소 어려울 수 있다. 과거 2008년 3,000톤의 재고수준에서 주석 가격은 톤당 1만2,000∼1만5,000톤이었고, 오히려 재고가 높았던 2011년 4월 재고 1만8,000톤 수준에서 가격은 3만3,000톤이었다. 반면에 향후 5년간 수요 증가 시 공급 감소에 의한 리스크가 더 부각되고 있다. 현재 중국, 미얀마, 그리고 인도네시아 광산에서의 생산량에 대한 정보 확인이 힘든 상황이다.

니켈 가격은 중국 무역지표 부진에 다른 차익실현 매도세에 의해 가격이 하락 조정되며 전주대비 3.09% 감소한 8,770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7,020톤 감소한 42만4,854톤을 기록했고, CW는 1.9% 감소한 32.16%를 기록했다.

맥쿼리 리서치(Macquarie Research)는 올해 니켈시장이 7만9,000톤 공급부족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니켈 공급은 전년대비 6.5% 감소, 수요는 성장은 거의 없다고 분석됐다. 또한 9,000달러 수준에서 70% 이상의 생산자가 영업 손실 구간으로, 가격이 1만톤 수준으로 회복되거나 대규모의 생산 감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의 재고 과잉은 향후 몇 년간 계속되어 상승에 제한이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 위 자료는 조달청 비축물자 웹사이트(http://www.pps.go.kr)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2917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