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가 다가올 지능정보사회의 기술혁신을 이끌 나노 및 소재 분야의 원천기술 확보에 나선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지난 23일 5년간 총 연구비 576억원(연간 11억원)의 지원을 통해 나노 및 소재분야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신규연구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는 인공지능 중심의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동력인 지능정보기술의 기반을 구성할 뇌신경모방칩(신경칩), 초저전력칩 등 차세대 나노반도체와 신산업 창출이 가능한 나노기술 산업화 공백기술 등 13개 세부분야에서 지원된다.
우선 ‘뇌신경모방칩’에서는 인간 뇌에서 신호 전달을 담당하는 신경세포인 시냅스와 뉴런의 기능을 모방한 반도체로 학습, 추론 및 뇌의 패턴인식, 학습기능을 모방해 능동적인 신개념 컴퓨터의 개발이 가능하게 하는 뇌신경모방칩 구현 원천기술 개발의 3개 분야에 연 30억원, 총 150억원을 예정하고 있다.
‘초저전력 나노소자’분야 에서는 초연결사회와 휴대폰, 무인자동차, 드론등이 실시간 통신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초저전력으로 지능정보처리를 할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반도체 구현을 위한 다치로직 및 재구성로직 소자 원천기술 개발을 2개 분야에서 연 20억원, 총 100억원 지원한다.
‘나노기술 산업화 공백기술’에서는 귀금속 대체 촉매, 친환경 나노소재 등 나노기술 7대 전략분야의 공백기술 개발 과제로 R&D 과정에서 산업체가 참여해 향후 실용화 성과로 반드시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8개 분야에서 연 65억2,000만원 총 326억원을 지원한다.
이번 공모는 3월24일부터 5월2일까지 40일간 진행되며, 평가와 선정절차를 거쳐 6월부터 본격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신규과제 공모의 상세 정보는 미래창조과학부(www.msip.go.kr), 한국연구재단(www.nrf.re.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주관연구기관 및 연구자는 공고문을 확인한 후 전문기관에 관련 서류를 접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