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6-05-02 09:49:58
기사수정

▲ LME비철금속가격(단위 : 달러/톤).

4월 셋째 주 비철금속가격이 달러 약세의 영향과 상품펀드의 매수세 상승영향으로 2주연속 전품목 상승했다.

조달청이 4월26일 발표한 ‘주간 경제·비철금속 시장동향’에 따르면 LME LMEX는 2,393.1를 기록해 전주 대비 4.52% 상승했다.

지난주 LME시장은 달러 약세의 영향과 상품펀드의 매수세의 영향으로 상승세를 지속했다. 특히 알루미늄(6.5%)이 급등해서 단연 돋보였다. 그 외 구리(4.2%), 납(3.8%) 등도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알루미늄 가격은 2주연속 상승하며 전주대비 6.51% 상승한 1,635달러를 기록했다. LME 창고 재고는 3만6,950톤 감소한 267만5,900톤을 기록했고, 상해재고는 전주대비 513톤 증가한 31만9,381톤을 기록했다. 인출예정창고증권비율(CW)은 0.29% 감소한 46.06%를 기록했다.

CRU의 분석에 따르면 알루미늄이 중국의 긍정적인 경제 뉴스와 상품투자펀드의 적극적인 투자에 영향을 받아 심리적 저항선인 1,600달러/톤을 넘어섰다. 당분간 긍정적인 모멘텀이 살아있다고 보인다고 강조했다. 반면에 알루미늄의 근본적인 펀더멘탈에 큰 변화가 없어서 현재의 상승세는 다시 하락 조정되리라고 전망했다. 특히 1,645달러선이 단기적으로 의미있는 저항선이라고 강조했다.

구리 가격은 유가 상승, 달러화 약세, 중국의 수요회복 기대감으로 2주연속 상승하며 전주대비 4.2% 증가한 5,015.5달러를 기록했다. LME재고는 175톤 감소한 14만7,800톤을 기록했고, 상해재고는 253톤 감소한 33만1,689톤을 기록했다. CW는 5.34% 감소한 16.86%를 기록했다.

세계금속통계국(WBMS)은 지난 1∼2월 글로벌 구리 수급이 12만톤 공급과잉이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국제구리연구그룹(ICSG)는 1월 5만6,000톤 공급과잉이었으며 2015년 12월 5만톤 공급부족대비 크게 반전한 수치였다고 설명했다.

중국비철협회(CNI)의 3월 구리수입 최종 집계는 약 46만톤 수준으로 연간대비 29%로 집계됐다. 한편 CRU는 중국의 3월 구리 수입 급증에도 불구하고 1분기 실수요는 전년대비 약 6만톤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전반적인 1분기 중국 구리 실수요는 명목소비량, SRB 비축 및 보세재고 증가분을 고려한 경우 감소했다. 또한 대부분의 수입물량이 창고 재고로 옮겨져 있다고 설명했다.

납 가격은 2주연속 상승하며 전주대비 3.83% 상승한 1,774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1만2,650톤 증가한 17만5,275톤을 기록했고, 상해재고는 283톤 감소한 1만9,447톤을 기록했다. CW는 5.26% 증가한 34.39%를 기록했다.

국제납아연연구그룹(ILZSG, International Lead and Zinc Study Group)은 2월에 납(lead)의 공급이 79만3,900톤, 수요는 74만9,800톤으로 결과적으로 수급기준으로 과잉 공급 상태였다고 발표했다. 더구나 2Q 부터는 시즌이 종료돼 공급이 둔화되지 않는 한 소폭 공급 과잉 상태를 유지하리라고 기대된다고 주장했다.

아연 가격은 2주 연속 상승하며 전주대비 2.78% 증가한 1,905달러를 기록했다. LME 창고재고는 7,400톤 감소한 40만7,700톤을 기록했고, 상해재고는 1,578톤 감소한 26만7,347톤을 기록했다. CW는 1.58% 감소한 11.25%를 기록했다.

최근의 중국 철강가격 상승은 생산이 늘어남에 따라 지속될 수 없을 것이라고 The China Iron & Steel Association(CISA)가 밝혔다. 따라서 그들의 견해에 따르면, 철강가격 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그 동안 아연 가격이 다른 품목 보다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인 것은 중국 철강가격 상승세도 중요 역할을 했었다. 이에 따라 중국 철강 가격이 다시 하락하게 되면, 아연 가격에도 일정부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주석 가격은 특별한 이슈가 없는 가운데 전주대비 0.58% 증가한 1만7,350달러를 기록했다. LME재고는 105톤 증가한 4,765톤을 기록했고, CW는 3.79% 증가한 12.80%를 기록했다.

아시안 메탈(Asian Metal)에 따르면 중국내 미얀마산 주석 원광(ore) 공급이 감소하면서 제련업자가 요구하는 TC도 감소세에 있다고 전했다. 인도네시아 광물 수출 규제 이후 중국은 주로 미얀마 산 원광을 수입해오고 있었으나, 매장량 감소 및 품위 저하로 인해 향후 원광 공급에 상당한 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중국내 한 광석 수입업자는 “작년 월평균 1,500∼2,000톤 가량 수입해오던 미얀마산 원광은 최근 3월 이후 1,000톤(일부 업체는 300톤) 수준에 그치며, 기존에 많은 채굴로 인해 원광의 품위도 매우 떨어져 있는 상태”라고 언급했다.

니켈 가격은 중국 경기 회복 및 생산 감축 기대감에 전주대비 2.76% 증가한 9,130달러를 기록했다. LME 창고재고는 3,288톤 감소한 42만924톤을 기록했고, CW는 0.35% 증가한 28.94%를 기록했다.

국제니켈연구그룹(INSG)에 따르면 2월 글로벌 니켈 수급은 소규모 공급과잉이었다. 2월 글로벌 생산은 14만9,600톤, 소비 14만6,000톤으로 전체적으로 3,600톤 공급과잉을 보였다. 이러한 가운데 글로벌 주요 니켈 생산업체들의 1분기 생산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에이치피 빌리톤(BHP Billion)의 1분기 생산량은 작년 4분기 대비 32% 상승했고, 앵글로 아메리칸(Anglo American)의 1분기 생산량도 전년대비 67% 상승했다.

※ 위 자료는 조달청 비축물자 웹사이트(http://www.pps.go.kr)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2966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