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6-07-06 17:44:00
기사수정

▲ 연도별 배출량 추이.

2014년 화학물질 배출량이 전년대비 6.9% 증가해 비산 배출 비율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이송배관 등 비산오염원에 대한 배출원인 진단과 누출 감시 활동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화학물질안전원(원장 김균)이 전국의 3,524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2014년도 화학물질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2013년도 대비 6.9% 증가한 211종, 5만4,261톤의 화학물질이 대기 등의 환경으로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전국의 3,524개 사업장은 2014년에 총 226종 1억6,361만8,000톤의 화학물질을 취급했으며, 이 가운데 211종 5만4,261톤(전체 취급량의 0.0332%)이 대기 등 환경으로 배출됐다.

화학물질안전원은 화학, 석유정제, 1차 금속 등의 업종에서 화학물질 전체 취급량이 2013년 1억6,115만7,000톤에서 2014년에 1억6,361만8,000톤으로 1.5% 증가했고, 보고 업체수도 3,435개에서 89개가 추가돼 화학물질 배출량도 함께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화학물질 별로 화학물질 배출량을 살펴보면, 용매제 또는 희석제로 주로 사용하는 자일렌(32.5%), 톨루엔(15.7%), 아세트산에틸(7.8%), 메틸에틸케톤(6.3%), 에틸벤젠(5.2%) 등 10개 화학물질이 전체 배출량의 85.0%를 차지했다.

자일렌, 톨루엔, 아세트산에틸의 경우 각각 1만6,397톤→1만7,661톤, 7,070톤→8,538톤, 3,669톤→4,222톤으로 배출량이 2013년 대비 1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출비율이 높은 업종인 기타 운송장비, 자동차 제조업 등에서 취급량이 2013년 67만8,994톤에서 2014년 78만7,634톤으로 2013년 대비 16%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벤젠 등 1급 발암물질 12종의 경우, 전체 배출량의 2.1%에 해당하는 1,064톤이 배출됐으며, 2013년 942톤에서 2014년 1,064톤으로 12.9% 증가했다.

업종별로 화학물질 배출량을 살펴보면,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33.8%), 고무·플라스틱 제조업(13.1%),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10.3%) 등 5개 업종에서 전체 배출량의 70.7%인 3만8,364톤이 배출됐다.

반면 화학업종과 코크스·석유정제업 등의 배출량은 각각 전체 배출량의 8.5%와 1.4%를 각각 차지하지만, 배출율은 평균 0.0332%보다 낮은 0.004%와 0.003%로 나타났다. 이는 화학물질 배출 취급 관리와 기술수준이 상대적으로 양호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역별 배출량은 2013년도와 같이 경기(1만1,734톤, 21.6%), 경남(8,813톤, 16.2%), 울산(8,556톤, 15.8%)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5곳의 지역에서 전체 배출량의 68.8%인 3만4,940톤이 배출됐다.

경기는 사업장 수가 889개로 조사 대상 전체 사업장의 25.2%를 차지해 상대적으로 화학물질이 다량 배출되었고, 경남은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울산은 대규모 산업단지에서 다량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관계자는 “화학, 석유정제, 1차 금속 등 비산배출 비율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이송배관 등 비산오염원에 대한 배출원인 진단과 누출감시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매체별 상위 20개 화학물질 배출량(단위 ; ㎏).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3034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