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가 소방용품에 대한 대국민 안전성과 신뢰도를 높이고, 불량 소방용품 유통의 사전 차단에 나선다.
국민안전처는 20일 ‘2016년 소방용품 수집검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의 소방용품 수집검사는 도·소매상을 통해 대부분 유통되기 때문에 도·소매상에 유통 중인 품목을 불시 수거해 검사하는 방법으로 추진해왔다.
반면에 올 해 부터는 소방용품의 수집방법을 다양화해 제조사에서 생산해 제품검사를 마친 것에서부터 시공직전인 용품까지 수집·검사해 불량소방용품의 유통을 사전에 차단할 계획이다.
2012년 수집·검사제도가 도입된 이후, 그간 총 35종 3,671개 품목을 수집·검사 했고 그 중 축광표지 성능미달업체 제품 1종 1,600개를 회수해 폐기 처리하였다.
올해 상반기 수집검사 품목은 민원이 발생한 품목을 포함해 시·도 소방본부 및 소방관련 단체의 의견을 수렴해서 7종 198개를 선정했으며 그 시기와 방법(5개 지역 25개소)은 비공개로 진행했다.
이번에 수집된 소방용품은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 의뢰해 성능기준의 적합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조치할 예정이다.
2017년 1월28일부터 불법 소방용품을 판매·진열하거나 소방시설공사에 사용한 자에 대한 벌칙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에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했다.
양질의 소방용품의 시공은 국민생활의 안전확보로 직결되기 때문에 어떠한 상황에서도 그 성능이 완벽해야하기에 적법하게 유통 중인 소방용품이라도 그 성능기준의 적합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일 국민안전처 소방산업과장은 “이번 수집검사를 통해 양질의 소방용품 유통과 시공에 대해 제조사, 도·소매상 및 시공업체 관계자의 책임의식이 강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