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무부가 한국산 유정용강관에 부과한 반덤핑 마진율이 최대 9.83%p 완화될 전망이어서 우리기업들의 수출회복이 기대되고 있다.
산업부(장관 주형환)는 한국산 유정용강관에 대한 미 상무부의 1차년도 연례재심 반덤핑 예비판정에서 원심 최종판정 대비 최대 9.83%p 인하된 반덤핑 마진율을 적용할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당초 미국측은 한국산 유정용강관에 대한 반덤핑 원심 최종판정(2014년 7월)에서 예비판정(마진율 0%) 대비 훨씬 높은 마진율을 부과했다. 마진율 대상 업체는 △넥스틸 9.89% △세아제강 12.82% △현대제철 15.75% △기타 12.82% 등이다.
그러나 이번 연례재심 반덤핑 예비판정에서는 △넥스틸 8.04% △세아제강 3.80% △현대제철 5.92% △기타 5.92% 등으로 반덤핑 마진율이 낮아졌다.
이번 결과가 내년 4월로 예정된 연례재심 최종판정에서 유지되거나 추가로 마진율이 인하될 경우, 이들 기업들은 1차년도 기간에 납부한 반덤핑 관세액 중 약 6,600만달러를 환급받게 된다.
이를 통해 국내 철강업계의 대미 수출 부담이 크게 완화될 전망이지만 저유가로 인해 셰일가스 개발이 급감하면서 유정용 강관 수출 사정은 크게 나아지지는 않을 전망이다. 셰일가스 개발이 한창이던 2014년에는 대미 유정용강관 수출액이 14억1,500만달러로 전체 대미 철강재 수출액의 27%를 차지했으나 2015년엔 3억7,400만달러로 무려 73%나 급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