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6-10-14 15:39:15
기사수정

▲ LME비철금속가격(단위 : 달러/톤).

지난주 비철금속가격은 수요가 없는 가운데 공급 증가 이슈가 부각되며 알루미늄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에서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조달청이 10월11일 발표한 ‘주간 경제·비철금속 시장동향’에 따르면 LME LMEX는 2,436를 기록해 전주 대비 1.53% 하락했다.

알루미늄 가격은 전주대비 0.99% 증가한 1,675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전주대비 2,425톤 증가한 212만6,825톤을 기록했고, 상해재고는 8만3,775톤을 기록했다. CW는 전주대비 0.17% 감소한 40.24%를 기록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인도의 증강된 생산 설비투자 확대로 생산성을 크게 높여 중국에 적극 대응해서 알루미늄 생산능력이 전년 대비 33% 증가해 385만톤으로 집계됐다. 힌두 비즈니스 라인(Hindu Business Line)에 따르면 인도시장에서 향후 5년 동안 알루미늄 수요 확대가 지속돼 기존 330만톤에서 530만톤으로 약 60% 가량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본 MJP 프리미엄은 4Q에 톤당 75달러로 결정돼 전분기보다 18%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납 가격은 전주대비 1.26% 감소한 2,079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400톤 증가한 19만850톤을 기록했고, 상해재고는 2만5,672톤을 기록했다. CW는 전주대비 10.5% 감소한 23.97%를 기록했다.

로이터는 최근 급등한 납 가격이 유지되기 어려울 것이라 주장했다. 납의 장기적 공급부족이라기 보다는 남부 호주 제련소 전력중단과 특정 기관이 많은 재고를 보유함으로써 일시적인 영향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플랫(Platts)에 따르면 8월 페루 납 생산량은 26.7톤으로 전년 대비 3.6% 상승했다.

중국의 역대 가장 큰 납과 아연 탄광이 중국의 신장지역에서 발견됐다. 해당 탄광은 호탄(Hotan County)에 위치해 있으며 1,900만톤 가량의 납과 아연을 보유하고 있다.

아연 가격은 전주대비 2.21% 감소한 2,325.5달러를 기록했다. LME 창고 재고는 1만8,075톤 증가한 45만7,425톤을 기록했고, 상해재고는 15만8,317톤을 기록했다. CW는 1.52% 증가한 7.56%를 기록했다.

아연가격의 강세 추세가 지속됨에 따라, 그 동안 생산이 중단됐던 아연 광산들이 생산재개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2월 이후 시설보수 등으로 잠정폐쇄됐던 니르스타(Nyrstar)社의 미들 테네시(Middle Tennessee) 광산이 다시 가동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단타(Vedanta)社는 4억달러 규모의 남아공 North Cape Gamsberg 아연광산개발을 서둘러 추진해 2018년 상반기부터 생산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광산 프로젝트는 지난해 자금문제로 지연된 바 있으나, 아연가격이 회복되고 있고, 이에 따른 수익개선에 프로젝트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은 것이다. 해당 광산에서의 생산량이 연간 25만톤이고, 향후 광산 개발을 확대해 연간 40만톤까지 늘릴 것으로 알려졌다.

구리 가격은 달러화 강세 영향으로 전주 대비 1.86% 감소한 4,742달러를 기록했다. LME 창고 재고는 1만6,925톤 감소한 35만5,300톤을 기록했고, 상해재고는 10만7,058톤을 기록했다. CW는 2.00% 감소한 19.53%를 기록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페루 대형광산 채굴 영향으로 1∼7월 구리 생산이 지난해 같은 기간대비 47% 증가했다.

CRU에 따르면 중국은 2017년 구리 TC/RC로 100달러/톤로 합의 할 것으로 전망됐다.

제이피 모건(JP Morgan)은 생산원가 감소에 의한 공급지속과 수요 부진이 4Q 구리 가격에 약세일 것으로 전망하며, 12월 구리 매도 포지션을 유지할 것을 추천했다.

주석 가격은 재고 감소세로 상승을 지속하고 있으나 일부 조정되며, 전주 대비 0.59% 감소한 2만175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15톤 감소한 3,445톤을 기록했고, CW는 5.31% 증가한 58.35%를 기록했다.

맥쿼리에 따르면 글로벌 반도체 판매 성장으로 주석 수요가 가격의 시세가 내리지 않고 높은 상태에 계속 머물러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CRU는 중국에서 10월 이후 주석의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단, 미얀마 광석 품위 저하로 증가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니켈 가격은 인도네시아 공급 리스크 영향으로 전주대비 1.91% 하락한 1만260달러를 기록했다. LME재고는 1,512톤 감소한 36만282톤을 기록했고, CW는 0.94% 증가한 31.91%를 기록했다.

CRU에 따르면 필리핀 에너지 자원부는 추가 14곳의 니켈 광산 생산중단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올해 필리핀 광석 생산의 약 50%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필리핀 광석 생산규제로 주요 IB 가격상승이 전망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광산부 장관은 니켈 광석 수출 가능성도 검토하고 있다.

※ 위 자료는 조달청 비축물자 웹사이트(http://www.pps.go.kr)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3127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