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미국 대통령으로 트럼프 후보가 유력해짐에 따라 보호무역 강화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9일 오후 2시 통상차관보 주재로 관계부처 회의를 갖고, 美 대선 이후 차기 정부의 통상정책을 전망하고 주요 한미 통상이슈들을 긴급 점검했다.
대통령으로 유력해진 트럼프 후보의 경우,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에 따라 反무역주의 및 보호무역 강화를 주장한 만큼, 對美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증대될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미국 통상정책의 변화가능성에 따른 영향 등에 대해 집중 논의됐다.
산업부는 미국측의 수입규제 강화 가능성에 대비, 민관합동의 공동대응체제를 공고히 하고 양자, 다자 차원의 대응방안도 적극 검토키로 했다.
또한 트럼프 후보가 공공 인프라 투자 확대, 철강 등 자국 제조업 육성 및 석유·세일가스 등 화석에너지 개발 등을 강조한 만큼 제조업 및 자원개발 분야 등에서 양국간 상호 윈-윈 할 수 있는 교역·투자 확대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