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6-11-12 00:33:08
기사수정

▲ LME비철금속가격(단위 : 달러/톤).

지난주 비철금속가격은 중국에서의 수요 증가와 글로벌 공급 감소에 따라 전품목에서 상승했다.

조달청이 11월7일 발표한 ‘주간 경제·비철금속 시장동향’에 따르면 LME LMEX는 2,535.5를 기록해 전주 대비 1.97% 상승했다.

알루미늄 가격은 전주대비 1.00% 상승한 1,718.5달러를 기록했다. LME 창고 재고는 전주대비 1만2,425톤 증가한 213만1,075톤을 기록했고, 상해 재고는 1만1,847톤 증가한 9만7,561톤을 기록했다. 인출예정창고증권비율(CW)은 0.16% 증가한 36.15%를 기록했다.

상해 알루미늄 가격이 강세를 보이면서 최고수준(2014년 11월 이후)을 기록했다. 최근 육상운송 비용의 증가로 인해 주요 생산지의 물류이동에 병목현상과, 석탄가격의 강세도 생산비용 증가로 이어져서 생산축소 가능성이 제기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LME 창고 규정이 재고 감소에 영향을 미쳤지만, 이로 인해 알루미늄의 펀더멘털을 왜곡시키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LME 재고는 2014년 1월 대비 60%나 감소했지만 글로벌 재고는 여전히 1,500만톤 수준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훙차오(Hongqiao)는 중국 정부로부터 알루미늄 생산을 낮출 것을 지시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납 가격은 전주대비 1.10% 상승한 2,070.5달러를 기록했다. LME 창고 재고는 800톤 감소한 18만8,350톤을 기록했고, 상해 재고는 863톤 감소한 3만1,080톤을 기록했다. CW는 0.35% 감소한 17.00%를 기록했다.

세계금속통계국(WBMS, World Bureau of Metals Statistics)에 따르면 중국의 수요가 큰 폭 증가하면서 공급부족이 확대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올해 1∼8월 중국 수요는 총 282만톤으로 작년도 동기간대비 25만톤 증가했다.

국제납아연연구그룹(ILZSG)은 2017년 글로벌 납 시장이 2만3,000톤의 공급과잉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연 가격은 전주대비 2.82% 상승한 2,441달러를 기록했다. LME 창고 재고는 2,075톤 감소한 44만9,350톤을 기록했고, 상해 재고는 4,092톤 증가한 16만7,759톤을 기록했다. CW는 0.10% 감소한 13.86%를 기록했다.

중국 steel시장이 회복되면서, 이에 따른 도금수요 성장 전망으로 상해거래소의 아연 가격이 최근 5년래 최고수준까지 상승했다.

글렌코어(Glencore)社는 호주의 퀸즈랜드(Queensland)에 위치한 블랙스타 아연(Black Star Zinc)광산에서의 생산을 중단하고 유지보수로 전환할 것으로 발표했다. 해당 광산은 개발 후 2004년부터 생산에 돌입해 약 8년의 생산수명이 예상되었던 광산으로, 지금까지 4,000만톤의 광석을, 175만톤의 아연금속과 100만톤의 납 금속을 생산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경제의 회복과 금속수요의 증가하는 가운데 가격상승에 베팅한 상품펀드들이 매수 포지션을 늘려가며 급등세를 보였다.

구리 가격은 수급개선 이슈와 LME 재고 감소로 강세를 보이며 전주대비 3.26% 증가한 4,943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2만1,400톤 감소한 30만5,000톤을 기록했고, 상해 재고는 4,709톤 감소한 9만7,839톤을 기록했다. CW는 5.84% 증가한 46.72%를 기록했다.

맥쿼리(Macquarie)에 따르면 광석 감소로 최근 TC/RC가 과거 6개월간 100∼105달러에서 최근 98달러 수준으로 빠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가공구리협회(IWCC)는 올해와 내년 각각 12만톤, 6만톤의 공급부족을 전망했다. 2017년 구리 생산은 2,277만톤(yoy +1.7%), 수요는 2,271만톤(yoy +2%)으로 전망됐다.

LME Week 2016에서, 주요 IB(Barclays, Macquarie 등)들은 비철금속 가격, 특히 향후 구리 가격을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특히 바클레이스(Barclays)는 중국 수요, 특히 전기자동차 부문의 구리 수요가 가격을 지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석 가격은 낮은 재고 및 상해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주대비 2.54% 증가한 2만1,405톤을 기록했다. LME 재고는 60톤 증가한 2,955톤을 기록했고, CW는 0.45% 증가한 61.42%를 기록했다.

아시안 메탈(Asian Metal)에 따르면 글로벌 최대 주석제련업체 윈난 틴(Yunnan Tin)社의 10월 생산은 4,200톤으로 전월대비 17% 감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2016년 판매목표 달성이 임박해 11∼12월 생산량은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만, 중국내 나머지 제련업체들은 생산증가를 지속 중으로 파악되고 있다.

메탈불레틴(Metal Bullentin)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국영업체 피티-띠마(PT-Timah)社는 주석 가격회복으로 인해 2017년에 생산량의 33%를 증가할 계획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 3Q 주석생산도 이미 전년비 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볼리비아 국영업체 꼬미볼(Comibol)社가 광석 처리 플랜트를 확장하며, 주석가격 회복으로 볼리비아는 중장기적으로 생산을 증가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니켈 가격은 지난주 강보합세에 머물며 전주대비 0.44% 상승한 1만385달러를 기록했다. LME 창고 재고는 전주대비 1,998톤 증가한 36만3,708톤을 기록했고, CW는 0.96% 감소한 33.26%를 기록했다.

블룸버그(Bloomberg)社는 중국을 제외한 34곳의 글로벌 니켈생산업체를 조사한 결과, 향후 2년간 니켈 공급 증가폭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2017년에는 1.6%, 2018년에는 0.33% 증가하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글렌코어社는 올해 1∼9월 Nickel 생산량 4만8톤으로 전년비 20% 증가했다.

노르니켈(Nornickel)社는 정광 생산량 부족으로 인해, 2016년 생산목표치를 약 2∼2.5만톤 축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 위 자료는 조달청 비축물자 웹사이트(http://www.pps.go.kr)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3154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