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가 항공기 부품을 3D프린팅으로 양산하기 위해 Arcam, 컨셉레이저 등 세계적인 금속3D프린팅 기업들을 연달아 인수하며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국방·우주항공에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3D프린팅 기술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는 자리가 마련된다.
한국3D프린팅서비스협회(회장 안영배)는 제4회 3D프린팅 창의메이커스 필드 ‘국방·우주항공 3D프린팅 현재와 미래’를 오는 1월20일 13시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는 국회 국방위원회 김중로,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정운천,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송희경 의원들의 공동주최로 이뤄지며 국민의당 전략홍보본부 정두환 수석부본부장의 축사, 한국3D프린팅서비스협회와 포스텍 나노융합기술원의 공동주관으로 진행된다.
3D프린팅기술을 활용하면 단종된 부품의 획득 문제와 해외 부속 조달 기간을 단축하는 등 경제적, 시간적 효과가 크다. 특히, 국방·우주항공 분야에서 공군은 엔진 제작사와 협업을 통해 3D프린팅 기술로 단종된 부품을 제작하여 비행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에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3D프린팅기술의 국방과 우주항공 산업에 융합된 해외 및 국내 3D프린팅 기술 선도 사례 및 실용화 사례가 소개될 예정이다. 협회는 이를 통해 국방경영 효율화와 3D프린팅산업 생태계 확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컨퍼런스와 함께 국회 로비 전시장에서는 스트라타시스, 3D시스템즈, 티모스, CEP테크, 세중정보기술, MarkAny, 국산 금속프린터 제조사인 큐브테크 등 20여개 국내외 3D프린팅 선도기업들의 제품이 전시될 예정이다.
제4회 3D프린팅 창의메이커스 필드에는 신기술에 관심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사전등록은 3D프린팅서비스협회 홈페이지(www.k3dpsa.org) 에서 선착순 접수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