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연구진이 기존의 유체칩을 대체해 개인용 프린터로 출력해, 스마트폰으로 당뇨, 신장 이상, 뇌질환 등의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의료 진단기기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조무제)은 신관우 서강대 교수 연구팀과 태국·덴마크 연구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혈액으로 의학적 진단을 할 수 있는 종이 전자 진단칩을 개발해 휴대폰으로 연결해 혈당, 신장 이상, 뇌 관련 질환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의료용 진단칩을 개발했다고 지난 12일 밝혔다.
종이 전자 진단칩은 기존의 실리콘과 같은 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종이 위에 프린팅기술을 이용해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고 이를 이용한 의학적 진단이나 분석이 가능한 칩이다.
개발된 종이 진단칩은 프린터 된 후 휴대폰으로 연결돼 혈액의 의학적 진단을 위한 복잡한 전처리 과정(여러 시약의 혼합, 반응시간 제어, 측정 등)을 자동으로 수행, 진단이 가능하다. 인체의 질병에 의한 혈액의 변화를 3개 이상 동시에 판정할 수 있다.
신관우 교수는 “앞으로 고가의 장비 없이 종이, 재생지를 이용해 가정용 프린터로 수 천 개의 칩을 손쉽게 만들 수 있어, 개인 맞춤형 의료 서비스, 바이러스·박테리아 검출을 위한 현장 진단기기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 성과는 미래창조과학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연구)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신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테크놀로지(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3월 16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