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이 업계 최초로 통합스마트선박솔루션을 개발했다.조선·해운업 불황 속에 새로운 시장으로 주목 받고 있는 ’스마트 해운‘ 움직임에 선제적으로 대응을 하게 된 것이다.
현대중공업은 ICT(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경제적·안정적 선박 운항 및 관리를 지원하는 ‘통합스마트선박솔루션(Integrated Smart Ship Solution)'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항해사의 숙련도와 경험에 따라 달라지는 항해 방법을 표준화하고 운항 정보의 실시간 수집·분석을 통해 운항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특히, 국제해사기구(IMO)가 2019년부터 선박운항 관리체계를 디지털화하는 ‘이내비게이션(e-Navigation)’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스마트 선박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국 로이드 선급(Lloyd's Register) 선박해양부문 루이스 베니토 이사(Luis Benito, 혁신전략연구담당)는 “현대중공업의 통합스마트선박솔루션은 스마트 시대 해운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부합되는 핵심기술”이라며, “향후 5년 간 발주될 6,500여대 선박(클락슨 기준) 중 현대중공업그룹의 시장점유율을 고려할 때 약 700척의 선박에 이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밝혔다.
이 시스템은 현대일렉트릭이 ICT기술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자 개발한 산업용 플랫폼 ‘인티그릭(INTEGRICT)'에 기반해 개발되었다. 에너지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과 엔진, 프로펠러 등의 가동 정보 모니터링을 통해 최적의 상태로 선박이 운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저항을 최소화하는 선체 전후 기울기 정보 및 최적 운항 속도를 알려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해도 상에 실시간 날씨 정보를 표시해 효율적인 운항을 돕는다.
이 시스템을 선박에 적용하면 연간 약 6%의 운항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미 6천500대급 자동차운반선과 25만톤급 초대형 광석운반선에 탑재되어 실증작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앞서 기술 중심의 경영 혁신을 선언한 현대중공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초 조선업계 최초로 ICT기획팀을 신설하고 최고디지털책임자(CDO)를 영입하며 ICT와 조선기술 융합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지난 5월에는 세계적 해운사인 사우디 바흐리社와 스마트 십 공동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스마트 십 시스템은 2011년 현대중공업이 세계 최초로 개발, 지금까지 300여척의 선박에 탑재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디지털 혁신을 통해 제품을 넘어 솔루션을 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현대중공업만의 경쟁력을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