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7-07-21 17:25:16
기사수정

▲ 데스크탑 메탈의 부품 생산용 금속 3D프린터 ‘Production System™’.

미국의 금속 3D프린팅 스타트업 기업 데스크탑 메탈이 최근 금속 3D프린터 개발을 위한 투자자금으로 1억1,500만달러(1,287억원)를 유치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이로써 회사는 총 2억1,200만달러(2,373억달러)의 자금 조달에 성공해 금속 3D프린팅산업 저변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이번 투자에는 GE 벤처스, 구글 벤처스, NEA(New Enterprise Associates) 등 유명 투자회사들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스크탑 메탈은 신속한 시제품 제작이 가능한 사무실용 금속 3D프린팅 시스템 ‘Studio System™’과 부품 대량생산이 가능한 ‘Production System™’ 제품군을 가지고 있다.

‘Studio System™’은 Bound Metal Deposition(BMD) 방식의 3D프린터로 폴리머에 혼합된 금속 및 세라믹 파우더를 FDM과 비슷한 방식으로 적층한 후 가열로에 넣어 폴리머를 태우고 금속은 소결시키는 방식이다. 최대 300x200x200mm(가로x세로x높이)크기로 50미크론의 정밀도로 시간당 16㎤ 출력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가격이 매력적인데 3D프린터 및 소결로 합쳐서 12만달러(1억3천만원)에 불과하다.

‘Production System™’은 독자적인 SPJ(Single Pass Jetting)로 기존 레이저 기반 금속 3D프린팅 보다 100배 이상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파우더를 적층해 롤러로 눌러주고 프린트 바가 바인딩 에이전트와 Anti-Sintering 프린트 바를 왕복하면서 뿌려준 후 소결로에서 소결작업을 거치는 방식이다. 최대 330x330x330mm 크기를 시간당 8,200㎤로 출력이 가능하다. 장비가격은 42만달러(4억7천만원)로 책정돼 있으며 기존 3D프린팅에 사용되는 금속분말보다 80% 저렴한 금속 사출성형(MIM:Metal Injection Moulding)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20배 이상 낮은 가격으로 부품생산이 가능하다.

데스크탑 메탈은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통해 이들 제품군의 시장 출시에 박차를 가하고 R&D 투자를 진행하는 한편 내년초 세계적으로 사세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CEO이자 공동 설립자 인 Ric Fulop은 “우선 조만간 ‘Studio System™’을 출시하고 내년엔 ‘Production System™’을 출시 할 계획”이라며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지원으로 시제품 제작에서부터 복잡한 금속 부품을 대량 생산하는 제품 벨류체인에 금속 3D프린팅을 적용하는 엔지니어 및 제조업체를 지원하는 솔루션 공급자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GE 벤처스의 스티브 타웁(Steve Taub) 이사는 “데스크탑 메탈은 혁신적인 금속 3D프린팅 기술을 통해 부품 제조 방법을 바꿀 수 있는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는 부품 및 제품 제조방식을 바꿀 수 있다는 거대한 잠재력을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데스크탑 메탈은 메사추세츠 주 벌링턴에 본사를 둔 3D프린팅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지난 2015년에 제조, 야금 및 로봇 공학 분야를 선도하는 전문가들이 모여 설립했다. 올해 세계 경제 포럼(World Economic Forum)이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기술 개척자 30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된 바 있다. 또한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발간하는 기술분석 잡지인 ‘테크놀로지리뷰’에서 ‘2017년 가장 스마트한 50대 기업’ 중 19위에 이름을 올렸다. 우리나라와 일본기업은 한 곳도 선정되지 못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3392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