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TV, 생활가전, 스마트폰 등 주요 제품군에서 구글과 함께 인공지능(AI) 인공지능의 대중화를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 1일 독일 베를린서 열린 ‘IFA 2017’에서 ‘LG 올레드 TV’, 세탁기, 냉장고 등 생활가전 주요제품, ‘LG V30’ 등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대거 선보였다.
LG전자는 전시부스 내에 200㎡ 크기의 ‘홈 IoT(사물인터넷) 존’을 별도로 꾸미고 음성인식, 딥러닝 등 각종 인공지능 기술이 다양한 제품군에서 구현되는 모습을 한눈에 볼수 있게 마련했다.
LG전자는 자체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제품·서비스를 확대하고,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회사 ‘아마존(Amazon)’, 글로벌 IT 기업 ‘구글(Google)’ 등 글로벌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생태계를 확장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LG전자는 ‘IFA 2017’에서 ‘아마존(Amazon)’의 인공지능 스피커 ‘아마존 에코(Amazon Echo)’를 통해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시연을 진행했다. ‘아마존 에코’는 아마존의 음성인식 인공지능 플랫폼 ‘알렉사’를 탑재한 스피커다.
사용자는 ‘아마존 에코’에 음성으로 명령해 LG 가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lexa, change channel to 2 on TV(알렉사, 채널 2번 틀어줘)”등 음성으로 TV켜기, 음성으로 로봇청소기 청소 작동하기 등이 가능하다.
LG전자는 올해 중 미국에서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건조기, 공기청정기, 로봇청소기, 오븐 등 7개 생활가전에 ‘알렉사’ 연동 서비스를 지원한다. 또 향후 출시할 ‘웹OS 스마트 TV’에 해당 서비스 연동을 검토 중이다.
LG전자는 지난 해부터 아마존과 손을 잡고 ‘알렉사’를 활용한 인공지능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작년 ‘IFA 2016’에서 ‘알렉사’를 탑재한 ‘스마트씽큐 허브(SmartThinQ Hub)’를, 올해 초 ‘CES 2017’에서 ‘알렉사’를 탑재한 스마트 냉장고 및 가정용 허브 로봇을 공개한 바 있다.
■ 구글과의 AI 파트너십… 스마트폰에서 생활가전까지 확대
LG전자는 스마트폰, 생활가전 분야에서 구글과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LG전자는 31일 공개한 스마트폰 ‘LG V30’로 구글의 음성인식 인공지능 플랫폼 ‘구글 어시스턴트’ 한국어 서비스를 처음 선보였다. 올해 초에는 ‘LG G6’로 ‘구글 어시스턴트’ 영문 서비스를 선보인 바 있다.
LG전자는 구글과 협력으로 ‘LG V30’에 특화한 명령어도 추가했다. 예를 들어 “로맨틱 영화처럼 찍어줘”라고 명령하면 ‘LG V30’의 ‘씨네비디오’ 모드가 자동으로 작동된다. 광각으로 카메라를 찍어달라는 요구도 가능하다.
‘LG V30’ 등 ‘구글 어시스턴트’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보유한 소비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LG 생활가전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LG전자는 ‘LG V30’나 구글의 인공지능 스피커 ‘구글 홈(Google Home)’ 등 ‘구글 어시스턴트’를 탑재한 기기와 주요 생활가전을 연동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LG전자는 지난 5월 구글 I/O에서 ‘구글 홈’으로 LG 시그니처 가습공기청정기를 작동하는 모습을 시연한 이후, 미국에서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에어컨, 로봇청소기, 공기청정기, 오븐 등 생활가전 7종에 ‘구글 어시스턴트(Google Assistant)’ 연동 서비스를 지원 중이다.
LG전자는 앞으로도 IoT 기술과 ‘딥씽큐’ 기술을 융합한 인공지능 가전을 꾸준히 선보여 스마트홈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