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이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활성화에 대비해 이차전지 사업에 2020년까지 약 2조6천억원을 투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팔래스호텔에서 백운규 장관 주재로 이차전지업계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차전지산업 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이차전지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와 상생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웅범 LG화학 사장, 전영현 삼성SDI 사장, 윤예선 SK이노베이션 사업대표, 홍동환 코스모신소재 대표, 이영훈 포스코켐텍 대표, 정순남 전지협회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이차전지 생산 3사는 2020년까지 약 2조6천억원 규모의 국내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3사는 전기차 및 ESS 시장 확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오창(LG화학), 울산(삼성SDI), 서산(SK이노베이션) 등 국내 생산설비 증설 및 신규 구축에 2조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또한 전기차용 이차전지 성능 혁신 및 고도화 등을 기술 개발에 약 6,100억원 규모의 R&D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3사는 소재·장비 협력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특화된 상생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협력사 자금 지원, 현금 결제 강화, 생산성·품질 개선을 위한 생산성 혁신 지원 등을 확대할 예정임을 밝혔다.
LG화학은 ‘무이자 직접 대여’를 통해 협력사들의 금융 지원을 하고 있으며, LG화학 추천 채용 박람회를 통해 채용 장려금을 지원, 협력사가 우수 인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SDI는 협력사가 생산설비를 증설하는 경우 증설자금을 직접 투자하거나 대여함으로써 협력사의 투자 부담을 완화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협력사와 공동으로 설비 및 장비를 개발하고 이를 자사 신규 설비 구축시 도입함으로써 협력사의 판로 확보 및 장비 국산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이날 이차전지 간담회 참석자들은 △중국 전기차 보조금 문제 △코발트 등 이차전지 원자재 가격 급등 △이차전지 소재·장비업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에 대해 백운규 장관은 “일본, 중국 등과 경쟁이 치열한 중대형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선도적인 기술을 개발해 이차전지 산업의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하고, 세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업계와 노력하겠다”며 “국내 투자 확대를 위한 걸림돌을 적극 발굴·해소하고 올해 중으로‘이차전지산업 혁신 및 상생협력 방안’을 수립해 이차전지업계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