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8-03-23 17:29:55
기사수정


▲LME비철금속가격(단위 : 달러/톤)

3월 둘째 주 비철금속가격이 중국 철강가격 급락 영향과 LME 재고 증가 영향으로 하락했다.

 

조달청이 320일 발표한 주간 경제·비철금속 시장동향에 따르면 LME LMEX3,276.1을 기록해 전주 대비 1.1% 하락했다.

 

알루미늄 가격은 전주대비 0.5% 하락한 2,069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5,575톤 감소한 1306,150톤을 기록했고, 인출예정창고증권비율(CW)1.2% 증가한 18.9%를 기록했다. 상해 재고는 87,303톤 증가한 934,216톤을 기록했다.

 

미국의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부과 결정이 미국 내 철강 및 알루미늄 생산 업체들이 수입물량을 대체할 정도로 충분히 생산량을 늘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향후 알루미늄 가격을 압박해 나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납 가격은 전주대비 2.7% 상승한 2,416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875톤 감소한 13650톤을 기록했고, CW17% 증가한 40.9%를 기록했다. 상해 재고는 1,756톤 증가한 33,860톤을 기록했다.

 

지난주 납 가격은 화요일에 전일대비 25% 늘어난 LME 창고출하 예정 물량의 영향으로 상승폭을 키워 당일 2% 넘게 상승했다.

 

올해 2018년에 캐나다의 Teck Resource는 납 생산을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의 87,000톤에서 올해 7만톤으로 생산 규모가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아연 가격은 전주대비 2.1% 상승한 3,285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3,550톤 증가한 206,125톤을 기록했고, CW2.7% 증가한 14.6%를 기록했다. 상해 재고는 3,073톤 증가한 157,548톤을 기록했다.

 

중국 당국이 철강 감산 등 강력한 환경개선 정책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돼, 업스트림인 아연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감이 가격에 반영되고 있다.

 

아연 재고 증가세가 크지는 않지만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구리 가격은 1.7% 상승한 6,923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1325톤 증가한 321,450톤을 기록했고, CW0.2% 감소한 13.2%를 기록했다. 상해 재고는 28,899톤 증가한 296,994톤을 기록했다.

 

캐나다 First Quantum MineralCobre Panama 구리 광산 프로젝트가 노동자 파업으로 건설에 차질을 빚고 있다. 주요 지역 4곳 중 2곳의 건설이 중단 상태다.

 

Cobre Panama 프로젝트는 2019년에 생산단계에 진입하는 근래 개발 가능한 광산 중 마지막 광산이며, 대략 20202021년에 경에 연간 약 3035만 톤의 구리 광석(정광 기준)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 바 있다.

 



주석 가격은 전주대비 1.5% 하락한 21,050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105톤 증가한 1,660톤을 기록했고, CW는 전주대비 3.2% 증가한 14.8%를 기록했다.

 

중국 광석 시장은 국내 및 수입산 정광 공급 감소로 타이트한 상황이다. 전국인민대표 회의 및 정치협상회의(NPC&CPPCC, 35320) 기간 동안 일부(Hunan지역 등) 광산들이 생산을 연기중이다. 미얀마 산의 경우 원광의 품위 감소(작년 2% 수준에서 현재 11.3% 수준)와 건기로 인한 용수 부족으로 dressing 공장의 가동률은 30% 미만인 상황이다.

 

1분기 주석 가격의 일부 회복에도 불구하고, 2분기 주석 가격은 하방압력이 가중 될 전망이다. 이유는 인도네시아 공급 증가 연초 LME 순매수 포지션의 차익실현 가능성 중국 내수 가격 하락으로 수출 가능성(SHFE-LME 가격 비율은 연초 7.15에서 6.86으로 축소)의 영향 때문으로 분석된다.

 

니켈 가격은 전주대비 3.0% 상승한 13,740달러를 기록했다. LME 재고는 4,104톤 감소한 324,894톤을 기록했고, CW1.1% 증가한 39.9%를 기록했다.

 

미국 및 유럽 지역 스테인리스 시장은 니켈 함량이 높은 300시리즈(ex. 304 냉연 등)의 수요 지속으로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관세 부과 이슈로 미국 내 생산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일부 품목의 공급불안 우려가 가격 상승압력을 높이고 있다. 반면에 중국 스테인리스 시장은 춘절 이후 높은 재고로 약세 상황이다.

 

위 자료는 조달청 비축물자 웹사이트(http://www.pps.go.kr)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3599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