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발전소 등 미세먼지를 다량으로 배출하는 사업장에 대해 배출허용기준이 최대 2배 강화된다.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2019년 1월1일부터 석탄화력발전소, 제철업, 석유정제업, 시멘트제조업 등 4개 업종 31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현재보다 2배 이상 강화된 배출허용기준을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번 기준 강화는 지난해 9월 정부합동으로 발표한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에 따라 사업장의 미세먼지 저감계획 후속조치로 추진되는 것이다.
배출허용 기준이 강화된 대기오염물질은 미세먼지(PM2.5)를 발생시키는 먼지,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등 3종이다.
석탄화력발전소는 배출허용 기준이 항목별로 약 1.4∼2배 강화된다.
먼지는 현행 20∼25㎎/㎥에서 10∼12㎎/㎥ 수준으로 강화되며, 황산화물은 80∼100ppm에서 50∼60ppm으로, 질소산화물은 70∼140ppm에서 50∼70ppm으로 강화된다.
제철업 등 나머지 3개 업종은 전체 공정이 아닌 미세먼지가 다량 배출되는 일부 공정의 배출허용기준이 우선 강화됐다.
제철업은 소결로가 이번 기준강화 대상이며, 먼지는 30㎎/㎥에서 20㎎/㎥, 황산화물은 130∼200ppm에서 90∼140ppm, 질소산화물은 120∼200ppm에서 100∼170ppm으로 약 1.2∼1.5배 강화됐다.
석유정제업은 가열시설이 기준강화 대상이다. 먼지 항목이 30㎎/㎥에서 15㎎/㎥으로 가장 많이 강화됐고, 황산화물은 180ppm에서 120ppm으로, 질소산화물은 70∼180ppm에서 50∼130ppm으로 기준이 높아졌다.
시멘트제조업은 소성·냉각시설의 기준이 강화됐다. 먼지는 30㎎/㎥에서 15㎎/㎥으로, 황산화물은 30ppm에서 15ppm으로 각각 2배 강화됐으며, 질소산화물은 330ppm에서 270ppm으로 1.2배 강화됐다.
신건일 환경부 대기관리과장은 “미세먼지 다량배출사업장은 일반사업장보다 미세먼지 배출량이 월등히 많아 이번 배출허용기준 개정을 통해 우선 관리강화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