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G 통신과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등에서 전자파 차폐 및 흡수소재와 방열소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관련 신소재 기술과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산업교육연구소는 오는 2월26일과 27일 양일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4차 산업/5G 시대- 신소재 기반 전자파 차폐·흡수 및 고방열 최신 분석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6일 세미나에서는 △4차 산업/5G 시대에 주목하는 EMI 발생원인 분석 및 EMC 설계와 대책 기술 △2019년 전자파 차폐/흡수 소재 종류 및 특성과 연구·기술개발 현황 및 국내외 시장분석 △전이금속 카바이트 고분자 복합체 기반 전자파 차폐/흡수 기술개발과 시장전망 및 솔루션 △자성 복합재료 기반 전자파 차폐/흡수 기술개발과 시장전망 및 솔루션 △니켈도금 탄소섬유 복합소재 기반 전자파 차폐/흡수 기술개발과 시장전망 및 솔루션 △수소·전기·자율주행차 전장부품용 전자파 차폐/흡수 기술개발과 적용사례 및 시장전망 △5G 이동통신 구축을 위한 EMC 요구사항 및 솔루션 △디지털 의료기기용 전자파 차폐/흡수 기술개발과 적용사례 및 시장전망 등의 주제가 발표된다.
27일에는 △SWCNT(단일벽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고방열 기술개발과 솔루션 및 시장전망 △BNNT(질화붕소나노튜브) 기반 고방열 기술개발과 솔루션 및 시장전망 △알루미늄-구리 복합소재 기반 고방열 기술개발과 솔루션 및 시장전망 △나노금속 복합재료 기반 고방열 기술개발과 솔루션 및 시장전망 △알루미나 파이버 기반 고방열 기술개발과 솔루션 및 시장전망 △수소·전기·자율주행차 전장부품용 고방열 소재/부품 기술개발과 적용사례 및 시장전망 △무기 복합소재 기반 고방열 기술개발과 솔루션 및 시장전망 △나노탄소 복합소재 기반 고방열 기술개발과 솔루션 및 시장전망 등이 발표된다.
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열전달 특성과 차폐·흡수 성능이 우수한 나노소재인 탄소 나노튜브, 그래핀 등을 활용한 방열, 전자파 차폐 관련 소재 부품 개발에 일정 부분 상용화에 성공했다”면서 “이번 세미나를 통하여 전자파 차폐ㆍ흡수 및 고방열 소재 부품 등의 최신 동향과 관련 기술개발 현황을 조명하고 향후 적용 전망과 기술적 관점을 소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또는 전화 (02-2025-1333~7)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