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0-04-06 09:46:55
기사수정


▲ 국제 원유가격 추이(단위 : 달러/배럴)

3월26일부터 4월2일까지의 국제유가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석유시장 개입 및 러시아의 증산 관련 입장 변화 등으로 상승했다.


한국석유공사 석유동향팀은 3일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을 통해 ‘2020년 4월 1주 주간 국제유가동향’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대서양 유종인 브렌트(Brent)유는 전주대비 배럴당 3.60달러 상승한 29.94달러를 기록했고,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주대비 배럴당 2.72달러 상승한 25.32달러를 기록했다.


중동 유종인 두바이(Dubai)유는 전주대비 배럴당 4.19달러 하락한 21.55달러를 기록했고, 오만(Oman)유는 전주대비 4.17달러 하락한 21.57달러를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우디-러시아 유가 논의에 필요 시 참여할 것이라 밝힌 데 이어 4월2일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와 전화통화를 가졌고 사우디와 러시아가 감산에 나설 것이라 예상, 희망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3일부터 셰일 업계 CEO와 회의를 갖고 업계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우디는 트럼프 대통령 발언 이후 OPEC+ 긴급회의 개최를 요청했다고 발표했다.


4월2일 러시아 에너지부 장관은 현재 시장이 공급 과잉상태로 자국은 증산에 나설 계획이 없으며, 사우디와 현재 석유시장 상황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 않으나 이를 배제하지도 않을 것이라 발언했다.


3월 4주 기준 미국 원유재고는 전주대비 1,380만 배럴 증가(2016년 이후 최대 주간 증가폭)한 4억6,900만배럴을 기록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4월1일 기준 사우디의 원유공급은 일일 1,200만배럴을 상회한 것으로 알려졌고 사우디는 5월부터 수출을 일일 1,060만배럴까지 증대할 것임을 재확인했다.


3월 OPEC 회원국의 원유 생산량은 사우디와 UAE의 생산 증가로 2월 대비 일일 9만배럴 증가했다.


트레이딩회사인 Trafigura는 4월 중 세계석유수요가 일일 3,000만배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고 한 달 새 10억 배럴의 재고 증가가 예상되지만 전 세계 여유 저장 공간은 9억5,000만배럴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Bank of America는 2분기 일일 1,200만배럴의 석유수요 감소(연간 일일 450만배럴 감소)를 전망했고, Standard Chartered는 4월 일일 1,850만배럴 감소(연간 일일 543만배럴 감소)를 전망했다.


3월31일 OPEC 의장국인 알제리는 4월 ECB(Economic Commission Board, 생산 정책에 대해 권고하는 실무기구) 개최를 제안했으나 사우디, UAE, 쿠웨이트, 나이지리아 등 최소 4개국이 개최 필요성에 동의하지 않으며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3월27일 미국의 2조달러 규모 코로나19 대응 경기부양책이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통해 정식 발효가 됐으며, 이어 31일 트럼프 대통령은 4차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2조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법안의 시행을 주장했다.


미국 재무부 장관은 4월1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인프라 투자 법안에 대해 의회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IMF는 코로나19와 관련해 각국 정부가 전시(Wartime)와 같은 정책 대응을 해야 하며 최소 1∼2분기 경제활동이 둔화될 것이라 전망하며 각국의 정책 규모와 성공여부가 코로나19 사태 후 경제 회복 속도를 결정할 것이라 밝혔다.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한 미국의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전월 50.1에서 49.1로 하락했다.


피치는 올해 세계경제성장률을 -1.9%로 전망하며 미국과 유럽이 코로나19 전으로 회복하는 것이 2021년 하반기에 가능할 것이라 분석했으며, 블랙록의 전문가는 올해 상반기 세계 경제성장률을 –11%로 전망했다.


3월26일∼4월2일 싱가포르 석유제품은 휘발유는 배럴당 0.45달러 하락한 20.68달러, 등유는 배럴당 3.47달러 하락한 24.61달러를 기록했다. 경유는 배럴당 3.06달러 하락한 34.88달러를 기록했다.


4월1일 기준 싱가포르 경질제품 재고는 114만6,000배럴 감소한 1,409만9,000배럴을 기록했고, 중간유분은 20만배럴 감소한 1,292만7,000배럴을 기록했다. 중질제품은 55만4,000배럴 감소한 2,422만9,000배럴을 기록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4197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