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0-04-29 13:14:08
기사수정


우리나라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은 코로나19로 수출이 악화 될 것으로 내다봤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전국의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관련 수출 중소기업 영향 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코로나19 영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4월 이후,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은 수출이 악화 될 것(78.7%)이라고 전망했다.


악화 전망 이유(복수응답)로는 ‘수출국의 수요감소로 신규 주문감소와 기존 수주물량 납품연기(69.5%)’, ‘수출국의 입국금지조치로 해당국가 내 영업활동 제한(50.0%)’, ‘해외전시회 취소로 수주기회 축소(25.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1/4분기 수출액은 전년 동 분기 대비 30%이상 감소가 47.4%(30∼50% 18.7%, 50%이상 28.7%)로 지난 3월 조사된 25.0%(30∼50% 15.7%, 50%이상 9.3%)보다 22.4% 증가했다. 이는 4월 들어 주요 수출국인 미국, 유럽 등의 급격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현지 소비 감소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로 상황악화가 지속될 경우 감내 기간으로 ‘3∼6개월(30.0%)’, ‘1∼3개월(26.0%)’, ‘6개월∼1년(22.3%)’, ‘1년 이상(16.3%)’, ‘1개월 이내(5.3%) 순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 10곳 중 7곳(68.0%)은 1/4분기 자금 사정이 악화됐다고 답했으며, 외부자금을 조달한 중소기업은 22.7%로 나타났다.


필요자금 대비 외부자금 확보 정도로는 ‘30%이내(44.1%)’, ‘30∼50%(33.8%)’, ‘50∼70%(11.8%)’, ‘70∼90%(2.9%)’, 90% 이상(7.4%) 순으로, 중소기업 10곳 중 8곳(77.9%)은 필요자금의 50% 이하만 확보, 필요 자금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력감축 계획에 대해서는 중소기업 73.0%가 현재수준을 유지한다고 응답했으며, 27.0%는 인력 감축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감축 시 ‘10% 이내(37.0%)’가 가장 많았으며, ‘20∼30%(23.5%)’, ‘10∼20%(18.5%)’, ‘40%이상(12.3%)’, ‘30∼40%(8.6%)’ 순으로 응답했다.


교역 조건 악화에 따른 대응책(복수응답)으로는 ‘대체 시장 발굴’(32.7%)을 최우선 순위로 꼽았으며, ‘기존거래처 관리강화’(31.3%), ‘임금삭감, 무급휴직 등 긴축 경영(29.3%)’, ‘온라인 등 비대면 마케팅 강화(29.0%)’, ‘별도 대응방안 없음(13.0%)’, ‘폐업 및 구조조정(7.7%)’ 등이 뒤를 이었다.


수출 중소기업의 경영애로 극복을 위한 정부 중점 지원책(복수응답)으로는 ‘인건비 등 운영자금에 대한 지원 강화(55.3%)’, ‘선적지연, 결제지연 등 수출 피해기업에 대한 지원대책 마련(38.0%)’, ‘기업인의 수출국 입국허용대응 강화(22.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글로벌 수요가 급감하면서 중소기업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이미 현장에서는 해외 바이어의 주문 후 물량 취소, 결제 지연, 재고 증가에 따른 납품가격 인하요구 등의 피해가 가시화 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경제를 이끄는 수출 중소기업이 큰 위기에 직면한 만큼 운전자금 지원, 주요 교역국 전세기 투입 등 이미 마련된 수출 정책의 신속한 집행과 함께 수출 중소기업을 위한 대책을 종합적으로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4219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