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0-06-22 14:47:04
기사수정


▲ 국제 원유가격 추이(단위 : 달러/배럴)

6월11일부터 6월18일까지의 국제유가가 석유 수요 개선 및 주요 산유국 생산 감소 전망에 상승했다.


한국석유공사 석유동향팀은 19일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을 통해 ‘2020년 6월 3주 주간 국제유가동향’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대서양 유종인 브렌트(Brent)유는 전주대비 배럴당 2.96달러 상승한 41.51달러를 기록했고,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주대비 배럴당 2.50달러 상승한 38.84달러를 기록했다.


중동 유종인 두바이(Dubai)유는 전주대비 배럴당 0.49달러 상승한 41.09달러를 기록했고, 오만(Oman)유는 전주대비 0.53달러 상승한 41.14달러를 기록했다.


IEA는 월간 보고서에서 중국과 인도의 봉쇄 조치 완화에 따른 빠른 수요 회복을 반영해 올해 세계석유수요 전망치를 전월전망대비 일일 50만b/d 상향했다.


다만 항공유 수요는 2022년까지 코로나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기 힘들 것이며 이로 인해 전체 석유수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OPEC 월 보고서에서 감산이 수급 균형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석유수요의 점진적 개선을 전망했으며, OPEC의 5월 생산은 일일 2,420만b/d로 집계됐다.


15일, 관계자에 따르면 사우디는 아시아 7개 고객사에 7월 공급 물량을 10∼40% 축소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라크 석유수출사(SOMO)가 OPEC+ 감산 준수를 위해 7월 아시아 일부 고객에 대한 Basrah 유종 공급을 30∼100%까지 줄일 것으로 알려졌다.


Energy Aspects는 7월 Basrah 유종 수출이 일일 220만b/d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고 관계자에 따른 이라크 6월 현재 석유 수출은 8% 감소했으며, 이라크 남부 수출은 6월1일∼14일 평균 일일 293만b/d로 5월 대비 일일 17만b/d 감소했다.


15일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은 7월 미국 주요 7대 셰일 분지 석유 생산이 763만b/d로 2년래 최저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이다.


중국의 5월 원유 정제투입량은 5,790만톤으로 독립계 정유사가 봉쇄조치 완화 이후 수요 충족 위해 정제처리를 늘리며 전년동월대비 8.2% 증가했다.


12일 기준 미국 원유재고는 전주 대비 120만 배럴 증가한 5만3,930만 배럴로 주간 통계 집계 이래 최대치를 기록한 반면에 휘발유와 중간유분 재고는 170만배럴, 140만배럴 감소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4월에 14.7% 감소했던 미국의 소매판매가 5월에는 전월대비 17.7% 증가하며 통계 집계 이래 최대 월간 증가폭을 기록했다.


16일 미국 행정부는 1조달러 규모 인프라 투자 법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미 연준 파월의장은 상하원 증언에서 경제 대한 불확실성을 언급하면서도 가계와 기업을 부양하기 위해 모든 정책 수단을 활용할 것이라 밝혔다.


중국 류허 부총리는 18일 중국 경제상황이 점차 개선되고 있고 자국의 통화정책이 더 유연해야 하고 합리적인 수준에서 충분한 유동성을 유지할 것이라 발언했다.


18일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을 기존 2.2%에서 0.1%로 하향했다.


11일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는 자동차, 에너지 등 주요 부문 부진으로 세계 교역량이 2분기 27% 감소, 연평균 20%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11일 UN은 지난 해 사우디 석유시설과 국제공항 공격에 사용된 미사일은 이란산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또한 2019년 11월, 2020년 2월 미국이 압수한 무기품 중 일부가 이란산이라고 밝혔고 미국 측 UN 대사인 Kelly Craft는 조만간 이란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 연장을 위한 결의안 초안을 공개할 것이라 밝혔다.


6월11일∼6월18일 싱가포르 석유제품은 휘발유는 배럴당 2.98달러 상승한 45.20달러, 등유는 배럴당 0.80달러 상승한 42.41달러를 기록했다. 경유는 배럴당 1.13달러 상승한 48.06달러를 기록했다.


6월17일 기준 싱가포르 경질제품 재고는 10만3,000배럴 감소한 1,524만2,000배럴을 기록했고, 중간유분은 87만2,000배럴 감소한 1,397만9,000배럴을 기록했다. 중질제품은 9만4,300배럴 증가한 2,663만배럴을 기록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4256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