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2일부터 7월9일까지의 국제유가가 원유재고 증가 등의 요인으로 하락했다.
한국석유공사 석유동향팀은 10일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을 통해 ‘2020년 7월 2주 주간 국제유가동향’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대서양 유종인 브렌트(Brent)유는 전주대비 배럴당 0.79달러 하락한 42.35달러를 기록했고,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주대비 배럴당 1.03달러 하락한 39.62달러를 기록했다.
중동 유종인 두바이(Dubai)유는 전주대비 배럴당 0.78달러 상승한 43.63달러를 기록했고, 오만(Oman)유는 전주대비 0.89달러 상승한 43.73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이 발표한 3일 기준 원유재고는 멕시코에서의 수입 증가로 걸프만지역 재고가 사상최고치를 기록함에 따라 전주대비 565만4,000배럴 증가했고, 중간유분 재고는 전주대비 313만5,000배럴 증가해 1983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우디 아람코사는 중동산 원유 가격 상승 및 아시아 정제마진 회복에 대한 시장 기대 속에 아시아 시장에 대한 OSP(공식판매가격)를 배럴당 1달러 인상하는 등 유럽, 미국 시장에 대한 대부분의 유종 OSP를 인상시켰다.
시장 전문가들은 OSP 인상이 사우디 원유에 대한 수요를 억제할 수 있으나, 재고에서의 원유 사용을 유도해 재고 감소로 유가를 상승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EIA는 2분기 수요가 예상보다 양호함 등을 반영해 올해 세계석유수요가 전년대비 일일 815만배럴 감소할 것으로 전망해 전월 전망인 일일 834만배럴 하락대비 소폭 상향했다.
2021년 4분기 수요는 일일 1억109만배럴로 2019년 일일 1억104만배럴 수준의 회복이 예상된다.
IEA 사무총장은 판데믹으로 석유수요 피크 및 구조적 감소가 촉발되었다는 일부 전망에도 불구하고 세계 석유수요가 판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수 있을 것이며, 다시 일일 1억배럴 혹은 이를 상회할 수도 있을 것이라 발언했다.
OilX Research에 따른 중국 6월 원유 수입은 일일 1,193만배럴로 전월 대비 일일 82만배럴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미국의 코로나19 신규 확진 추세와 이로 인한 7∼8월 소비 부문 제약 등을 반영해 골드만삭스는 3분기 GDP 성장률(전분기대비 연율)을 당초 33%에서 25%로 올해 GDP 성장률을 –4.2%에서 –4.6%로 하향했다.
OECD는 2020년 말 선진국의 실업률이 9.4%로(2019년 말 5.3%) 대공황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라갈 것이며 2021년 말에도 7.7%에 머물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할 것이라 전망했다.
미국의 5월까지 수출 통계에 따르면 중국은 올해 들어 미국산 에너지를 20억달러 구매에 그쳐 당초 합의한 연내 250억달러 구매를 연내 달성하기 힘들 것이라 분석했다.
미국 백악관 비서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제조업, 이민 등에 대해 중국을 타깃으로 한 여러 행정명령을 검토 중이라고 발언했다.
Bloomberg에서는 미국이 홍콩 달러 페그제 약화(홍콩은행의 미국 달러 매입 제한 가능)를 검토 중이란 보도가 나왔고, 미국이 미국 외교관, 언론인 등의 티베트지역 방문 제한에 관여한 중국 관료 비자 제한하자 중국도 맞대응하는 등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ISM 발표 미국의 6월 서비스업 PMI가 57.1로 전월 45.4, 시장전망 48.9를 상회했고 유로존 5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17.8% 증가했으며, 독일의 5월 산업생산은 전월대비 7.8% 증가했다.
영국 재무장관은 8일 고용 지원 및 세금 감면 골자의 300억 파운드 규모의 추가 부양책을 발표했고, 미국 재무장관은 가계에 대한 직접적 현금 지원 등을 포함한 추가 부양책을 7월 말까지 통과시킬 것이라 발언했다.
7월2일∼7월9일 싱가포르 석유제품은 휘발유는 배럴당 2.07달러 상승한 46.01달러, 등유는 배럴당 0.82달러 상승한 43.44달러를 기록했다. 경유는 배럴당 0.37달러 상승한 50.22달러를 기록했다.
7월8일 기준 싱가포르 경질제품 재고는 144만3,000배럴 증가한 1,655만7,000배럴을 기록했고, 중간유분은 19만6,000배럴 증가한 1,360만6,000배럴을 기록했다. 중질제품은 154만3,000배럴 증가한 2,666만6,000배럴을 기록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