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7월 조선 수주량이 LNG선 발주 재개의 영향으로 올해 첫 세계 1위를 달성했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7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 68만CGT(24척) 중 한국은 50만CGT(12척, 74%)를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이 월간 기준으로 수주량 1위를 차지한 것은 올해 들어 처음이다. 1위를 기록하던 중국은 7월 14만CGT(8척)를 수주해 점유율 21%에 그쳤으며 일본 3만CGT(1척, 4%)이 뒤를 이었다.
올해 1~7월 국가별 누계 수주 실적은 중국 374만CGT(164척, 57%), 한국 168만CGT(49척, 25%), 일본 68만CGT(43척, 10%) 순으로 나타났다. 1~7월 글로벌 발주량은 지난해의 40% 수준에 그치는 등 수주 가뭄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3년간 1~7월 누계 선박 발주량은 2018년 2,118만CGT, 2019년 1,573만CGT, 2020년 661만CGT로 감소세를 기록 중이다.
이같은 감소세에 대해 클락슨리서치는 코로나19로 인한 선사들의 투자심리 저하와 IMO 2020 황산화물 배출규제 시행에 따른 관망세 심화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선종별 누적 발주량을 살펴보면 A-Max급(56만CGT, 21척, 10%↓), S-Max급 유조선(45만CGT, 15척, 6%↓), 컨테이너선(51만CGT, 7척, 11%↓) 발주량은 소폭 감소했다. 반면 초대형 유조선(43만CGT, 10척, 48%↓), 벌크선(4만CGT, 10척, 74%↓), 대형 LNG선(60만CGT, 7척, 73%↓) 등의 발주량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7월 한국이 LNG선 4척을 수주하는 등 하반기 발주량은 LNG선을 중심으로 점차 회복세를 보일 전망이다. 조만간 모잠비크, 러시아 등지에서 LNG선 대량 발주가 예정돼 있어 한국을 중심으로 수주가 늘면서 시황 회복이 기대되고 있다.
7월 말 전세계 수주잔량은 6월 말 대비 1% 감소한 6,957만CGT로 집계됐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564만CGT(37%)에 이어 한국 1,914만CGT(28%), 일본 946만CGT(14%)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