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D프린팅 제조혁신센터 인프라를 활용해 금속 3D프린팅으로 중소기업의 제조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경기도는 올해부터 ‘금속 3D프린터 운영인력 양성사업’과 ‘3D프린팅 부품 성능평가 제공사업’을 새로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금속 3D프린터 운영인력 양성사업’은 중소기업들이 금속 3D프린터를 운영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사업 대상은 금속 3D프린팅 활용 계획이 있는 도내 중소기업 재직자다.
교육은 시흥 소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D프린팅 제조혁신센터(센터장 손용)에서 올 하반기 총 3회(10월 1회, 11월 2회)에 걸쳐 시행될 예정이다. 1회 당 10명 내외 교육생을 대상으로 5일간 하루 6시간씩 교육한다.
교육 프로그램은 금속 3D프린팅, 후처리, 분석 과정 등에 대해 센터 내 각종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실습위주로 진행되며, 이를 통해 중소기업들은 기존 제조기술로 제작하기 어려웠던 복잡한 형상의 제품을 3D프린팅을 통해 실제 기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모집기간은 10월21일 오후 2시까지며, 신청서식 및 제출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경기테크노파크 홈페이지(www.gtp.or.kr)를 참고하면 된다.
‘3D프린팅 부품 성능평가 제공사업’은 기업들이 금속 3D프린터를 활용해 제조한 부품의 상용화에 앞서 공정기술의 품질과 신뢰성을 실증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D프린팅 제조혁신센터의 인프라를 활용해 업체별 맞춤형 기술 상담은 물론, 제작된 부품의 인장강도, 피로강도, Xray-CT 검사 등 제조현장에서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지원된다.
사업 대상은 금속분야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부품을 제조하는 도내 소재 중소기업으로, 전문가 심사평가를 통해 선발된다. 신청 방법은 3D프린팅 제조혁신센터 홈페이지(www.kamic.or.kr)에서 ‘기술지원의뢰서’ 양식을 내려 받아 작성한 후 담당자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임문영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은 “차세대 제조기술인 3D프린팅 기술로 제작된 부품을 산업현장에서 널리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미래기술을 활용해 도내 기업에 대한 제조혁신을 도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