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분자학회가 주관하고 한화토탈이 제정하는 ‘한화고분자학술상’의 2020년도 수상자로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김덕준 교수가 선정됐다.
한화토탈은 6일 부산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0 한국고분자학회 추계총회’에서 2020년도 한화고분자학술상 수상자로 김덕준 성균관대 교수에게 상패와 상금 1천만원을 수여했다고 밝혔다.
김덕준 성균관대 교수는 ‘고 이온전도 및 장기 안정성을 지닌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 등에 관한 연구’를 통해 연료전지 상업화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았다.
김덕준 교수는 “전지 관련 고분자 소재는 학문의 발전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파급효과가 매우 큰 만큼 자부심과 의무감으로 임해오고 있다”며 “학회와 산업발전에 도움이 되기 위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앞으로도 연구에 매진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한화토탈은 석유화학산업 기술의 근간이 되는 고분자과학 발전을 위해 2005년 한화고분자학술상을 제정하고 매년 탁월한 연구업적으로 국내 고분자과학 발전에 기여한 과학자를 선정하여 1천만원의 연구활동비를 지원하고 있다.
한국 유교교육.한국 최초의 대학인 고구려 태학은 임금이 태학(太學)을 세워 자제들을 교육(立太學 敎育子弟).고려 국자감의 國子는 국가의 子라는 뜻.고려말 성균관계승 조선 성균관은(해방후 성균관대) 태조가 성균관짓고,태종이 문묘에서 제사, 왕세자의 입학명령.조선시대 왕세자.왕은 성균관(성균관대)출신임.귀족,소수 평민도 입학가능.한국최고대 Royal성균관대,교황윤허 서강대는 성대다음 Royal대 예우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가 옳음.한나라이후 세계종교로 동아시아의 정신적 지주로 자리잡아온 유교전통.
해방후 유교국 조선.대한제국 최고대학 지위는 성균관대로 계승,제사(석전)는 성균관으로 분리.최고제사장 지위는 황사손(이원)이 승계.한국의 Royal대는 성균관대. 세계사 반영시 교황 윤허 서강대도 성대 다음 국제관습법상 학벌이 높고 좋은 예우 Royal대학.
http://blog.daum.net/macmaca/2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