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등록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이 1만7,544개인데 반해 화학사고에 대한 전문인력은 100명 남짓하고 이마저도 전문성이 부족해 실질적인 전문가 양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충남 천안을)이 받은 소방청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소방당국의 전국 화학분야 특채자는 104명으로 나타났다. 중앙구조본부에 19명, 전남 19명, 서울 14명, 충북 10명 순으로 부산, 대구, 인천,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전북, 경북, 경남, 제주에서는 화학특채자가 한 자릿수를 나타냈다. 광주, 충남, 창원 소방본부에는 전혀 없다.
소방당국은 화생방 테러나 각종 화학사고를 대응하기 위해서 화학특채자를 채용하고 있으나 소방본부별로 매년 한두 명 수준으로 채용하거나 전혀 뽑지 않기도 한다. 2019년에 부산, 광주, 세종, 충남, 경남, 창원은 화학 특채자를 전혀 채용하지 않았다.
화학특채자는 화학 관련 자격증 소지자 및 화학전공자가 관련 분야에서 2년 경력이 있으면 채용하고 있는 상황으로, 실제 화학사고 현장에서 전문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 7월 인천 서구 공장 탱크로리 폭발 사고에서 화학복을 입고 대응해야 하는 현장이었음에도 화재만을 막는 방화복을 입고 대응하여, 소방관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한편, 화학사고로 인한 소방당국의 출동은 연간 2~3백여 건으로 최근 5년간 1,502건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경우 위험한 모든 물질사고에 대응하는 전문 자격증제도를 운영하여 위험물질 대응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위험물질 사고 현장지휘관, 위험물질 안전담당관 등 현장에서의 역할을 세세히 나눠 관련 자격을 부여한다.
박완주 의원은 “소방청은 인화성이 있는 화학물질만을 ‘위험물’이라 규정하고 관리한다”며 “화학 사고, 폭발 사고 등 각종 재난에 대응해야 하는 소방청이 산업부, 환경부가 관리하는 각종 위험물질 사고에 대하여 전문 대응역량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