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저감 기술인 ‘대규모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플랜트(CCS)’ 실증사업에 10년간 2조3,000억원규모의 정부·민간 공동투자가 추진된다.
녹색성장위원회는 지난 11일 이 같은 내용의 ‘국가 CCS 종합 추진계획’을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환경부, 국토해양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를 마치고 13일 '제8차 보고대회'에서 발표한다고 밝혔다.
CCS 사업은 화석연료 사용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모아 저장하거나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이번 계획은 그간 실험실 수준에서 가능했던 기술을 시장성 있는 규모로 격상하기 위한 것으로, 포집 과정의 경제성 확보, 지중저장 시 안전성 검증, 육상 또는 해양 저장소 선정 등 상용화를 위한 실체적 기술을 확보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녹색위는 설명했다.
녹색위는 CCS 기술을 통해 향후 20년간 약 550조원 규모의 세계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원천기술 확보에 나서기로 했다.
이번 CCS사업에는 화력발전소, 제철소, 시멘트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포집-수송-저장 핵심원천기술 개발’과 ‘통합 플랜트 건설 및 실증사업’ 등이 포함된다.
이를 위해 포집 과정의 경제성 확보, 지중저장 시 안전성 검증, 육상 또는 해양 저장소 선정 등 상용화에 목표를 두고 국제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관계부처에 따르면 CCS 플랜트 상용화에 성공시 2030년까지 약 100조원의 매출과 10만명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2030년 우리나라 온실가스 감축전망치의 약 10%인 3,200만톤 감축이 기대된다.
녹색위의 관계자는 “이로써 온실가스 감축과 새로운 수출 동력을 찾을 수 있게 됐다”며 “2030년까지 최고 기술선진국의 수준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