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자율주행차, 친환경차 등 미래차 산업 육성과 시장 선점을 위해 직제를 변경하고 민간 경력자를 채용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와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미래자동차산업과’(이하 미래차과) 신설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을 3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하고 11월11일에 시행된다고 밝혔다.
미래차 관련 업무는 그간 산업부 자동차항공과에서 수행해왔으나 적극적인 정책 추진을 위한 전담 조직으로서 미래차과를 신설하게 됐다. 주요 업무로는 △미래차 분야 기술개발·사업화 △보급 활성화 △산업 인프라 조성 △연관산업 융·복합 △글로벌 규제대응 등을 추진한다.
시장 선점을 위해 신속한 정책 대응이 필요한 만큼, 미래차과 과장은 해당 분야 전문성과 혁신성을 갖춘 민간 경력자로 채용할 예정이다.
미래차과는 지난 10월30일 발표된 ‘미래자동차 확산 및 시장선점 전략’ 등 정부의 미래차 육성 정책의 발빠른 이행에 역점을 두고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정부는 2025년 전기·수소차 누적 133만대 보급·수출 53만대, 2023년 자율주행 레벨3 본격 출시 및 2024년 레벨4 일부 상용화, 2030년 부품기업 1천개 미래차 전환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래차 산업은 디지털 뉴딜과 그린뉴딜의 핵심”이라며, “미래차과 신설로 미래차 산업 육성에 보다 힘이 실리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