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 율촌항만부지가 글로벌 해양물류·산업거점으로 거듭난다.
정부는 4일 제119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위원장 성윤모 장관)를 개최해 광양만 경자구역 율촌항만부지 개발계획 변경승인(안) 등 3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우선 광양항을 글로벌 해양물류·산업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항만시설용지 및 항만배후단지 일부를 광양항 율촌 융·복합 물류단지(326만㎡)로 변경하는 토지이용계획을 승인했다.
이를 통해 광양만권 내 부족한 산업시설 용지를 공급하고 광양항의 안정적인 물동량 확보에도 도움이 되는 신산업 및 물류기능이 융·복합된 클러스터로 조성돼 경제자유구역 활성화가 기대된다.
향후 정부는 기업수요를 고려하여 준설토 투기 완료하고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용지 공급이 가능하도록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또한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 대송산업단지도 친환경 산업단지로 조성된다.
급변하는 국내·외 산업 생태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에너지 신산업 및 친환경 관련 유치업종을 추가해 친환경 산업생태계 산업단지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유치업종인 금속가공제품제조, 기타운송장비 등에 추가로 식료품, 비금속광물제품, 1차 금속 제조업 등을 유치하는데 주력한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보배연구지구 개발계획도 변경승인됐다.
경자구역 중점 및 지역주력 업종 유치를 위해 연구개발중심의 보배지구를 산업기능이 겸비된 복합지구로 개발하는 토지이용계획 변경을 승인했다.
경자구역 중점 유치업종은 의료·정밀·광학기기 및 시계제조업, 전기장비 제조업이며, 지역주력 유치업종은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기타기계 및 장비제조업이다.
산업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추가된 산업시설용지는 경제자유구역 및 인근 지역의 부족한 산업시설용지를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산업고용위기 지역인 창원시의 경제활성화로 고용창출 기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