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가 세계 수소연료전지차 시장에서 넥소 모델의 판매량 급증에 힘입어 일본 도요타와의 격차를 더욱 벌려 독보적 1위를 지키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세계에 등록된 수소연료전지차는 6,600여대로 전년동기대비 3.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요타, 혼다 등 일본 기업들의 판매부진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현대차의 수소연료전지차 판매량은 4,917대로 전년동기대비 61.3% 증가하면서 1위를 기록했다. 현대차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44.3%에서 올해 73.8%로 상승했다. 이는 주력 모델인 넥소가 61.1% 급증한데 힘입은 것이다.
반면 2위를 기록한 도요타의 판매량은 61.8% 감소한 767대에 그쳤으며 혼다도 27.2% 감소한 187대를 기록했다. 이는 주요 모델이었던 도요타 미라이(1세대)와 혼다클래러티가 모델 노후화로 판매량이 급감한데 따른 것이다. 특히 미라이는 최다 판매 지역인 미국에서 코로나로 공장 가동 중단에 따른 물량 축소까지 겹치면서 현지 판매량이 격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4위와 5위를 기록한 Wulong과 Golden Dragon 둥 주요 중국계 업체들은 자국 시장에서 수소트럭과 수소버스 판매가 급증하면서 비약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3분기 전세계 수소연료전지차 판매량은 2,600대에 근접한 수준으로 전년동기대비 27.2% 증가했다. 1위 현대차가 60%대 급성장세를 시현하면서 시장 성장을 주도했다. 또한 지리를 필두로 주요 중국계 업체들의 성장세도 두드러졌다. 반면에 도요타와 혼다는 감소세가 이어졌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현대차는 넥소 판매가 정상 궤도에 안착하고 엑시언트 수소트럭 신모델 판매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이면서 당분간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며 “다만 2020년 12월 일본에 이어 2021년 초 미국에 출시되는 도요타 미라이 2세대 모델이 등장하면서 경쟁이 가열돼 시장 규모도 상당부분 팽창할 것”이라고 관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