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1년 나노 및 소재 미래기술, 핵심기술, 팹 고도화 등에 지원을 확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총 2,879억원 규모의 ‘2021년도 과기정통부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이번에 확정된 계획은 과기정통부의 소재·부품·장비 지원예산 4,173억원 중 약 70%에 해당하며, 전년대비 약 25%가 증가한 규모이다.
과기부는 보다 체계적인 사업 관리와 연구현장의 편의성 및 예측가능성 제고를 위해 유사한 성격을 가진 과제들을 묶어 △미래기술 △핵심기술 △사업화 △팹 고도화 △연구혁신으로 유형화하고, 맞춤형 지원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미래 기술수요에 대응하고 신시장·신산업 창출을 선도할 차세대 나노·소재 유망 원천기술 확보에는 1,020억원이 투자된다. 구체적으로는 △8나노미터(nm) 이하 초미세 반도체 공정용 무기 포토레지스트 △맥신 기반 고성능 전극소재 등 혁신적·도전적 연구주제(181억원) △미래선도품목(20억원) 개발을 위한 ‘미래기술 연구실’이 확대된다.
또한, 그간 축적해 온 나노융합기술이 산업적으로 구현 가능한지 검증(시제품 제작)하는 과제가 새롭게 추진되며 코로나19 확산 등을 고려하여 바이오융합분야를 우선 지원(8개, 60억원 내외)할 계획이다.
이밖에 계산과학 등 신연구방법론을 활용한 신소재 발굴 연구단(28개, 415억원), 영상·소리 동시구현 디스플레이 소재, 체내 삽입용 유연 전자소자 등 계속과제(60여개, 344억원)도 지속 지원된다.
총 832억원이 투입되는 ‘국가핵심소재 연구단’은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과 연계를 바탕으로 산·학·연이 한 팀이 되어 원천기술 기반형 응용연구를 수행한다. 2021년에는 비백금 귀금속촉매 및 비탄소담지체 기반 수소생산 촉매 소재, 나노 LED 디스플레이 소재 등 10개 연구단이 신규로 선정돼 총 25개로 확대되며, 소재+공정+시스템을 통합지원하는 연구단도 추가 선정된다.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나노·소재 원천기술을 이전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화 모델 개발 및 초기시장 진입을 지원하기 위해 ‘나노융합2020+’ 사업에 30억원(9개 내외, 산업부 공동)이 투자된다. 이는정부투자대비 454%의 누적 매출액을 달성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고 올해 종료된 ‘나노융합2020’의 후속 지원으로, 특허분석, 기술자문, 상시 모니터링 등이 지원된다.
반도체 테스트베드 구축, 대학 팹시설 확충, 연구자 및 기업 대상 시험평가 지원 등 국가 나노인프라 고도화에 643억원이 투자된다. 수출규제 이후 중소팹리스 기업의 신속한 성능평가 지원을 위해 착수한 12인치 반도체 테스트베드(나노종합기술원) 및 시스템반도체 제작 일괄공정(나노종합기술원-한국나노기술원)은 2020년 핵심장비 구축을 완료한데 이어 2021년부터 시범 서비스에 나선다.
또한, 기존 공공팹 이외에 대학의 반도체 팹 시설·장비·서비스 고도화(3개 기관, 90억원)가 신규 추진되며 대기업 출신 고경력 인력을 활용한 사업화 컨설팅(10명, 한국나노기술원)도 추진된다.
연구혁신을 위해 ‘소재 연구데이터 수집·공유 플랫폼‘ 구축이 지속 지원(60억원)되며, 축적된 연구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특화 서비스 개발도 신규 착수(79억원)된다.
또한 나노인프라(연 1,000명) 및 연구데이터 플랫폼(연 495명)에서의 현장 실습경험을 갖춘 소부장 전문인력을 지속 육성하면서, 공공연구기관 기술인력의 소부장 기업파견도 신규 지원(45억원)한다.
과기정통부 김봉수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소재·부품·장비 및 나노기술은 정부 차원에서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흔들림 없이’ 지원할 분야”라며 “우수한 연구성과가 제품이 되고, 공급망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산업수요를 연구개발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