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화물, 전기차 배터리 소재 등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나 중국·일본에 90%이상 수입을 의존하고 있는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기술개발이 본격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마그네슘(Mg)계 세라믹 원재료 국내생산 시범사업’을 추진할 중소·중견 세라믹기업을 모집한다고 4일 공고했다.
이번 사업은 △마그네슘계 원재료 공급(백운석 활용 마그네슘계 세라믹원재료 개발, 해(간)수 활용 마그네슘계 세라믹원재료 개발, 폐내화물 활용 마그네슘계 세라믹원재료 개발) △마그네슘계 응용제품 개발(MgO 기반 방열소재 제조기술 개발, 30nm 이하급 MgO 졸 제조 및 응용기술 개발, Mg계 기능성 세라믹 제조 및 응용기술 개발) 등 6개 과제로 구성됐으며, 올해부터 2025년까지 총 229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는 철강용 내화물, 전기차 배터리 방열필러 소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국내 수요는 26만4천톤(약 1,410억원)으로 저품위(순도 93% 내외)는 중국, 고품위(순도 98% 이상)는 일본에서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번 R&D는 국내 자원을 활용한 국내 생산기반 구축을 통해, 그간 원가경쟁력과 기술경쟁력이 부족해 수입에 의존했던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의 소재 공급 안정화를 통해 철강, 화학, 환경 등 수요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마그네슘계 원재료 공급 과제 3개에는 과제당 5년간 최대 53억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마그네슘계 응용제품 개발은 국내 생산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를 활용해 산화마그네슘 기반 전기차 배터리 모듈용 고열전도성 방열 필러 및 10W/mK급 열계면소재(TIM)를 올해부터 개발하고 세라믹원재료 기술개발이 진행된 2024년도부터 개발·제조된 원재료를 활용하는 2개 과제가 추가로 지원할 예정이다.
신규과제 수행기관은 평가를 거쳐 3월 중 확정될 예정이며, 상세사항은 산업부(www.motie.go.kr) 및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www.keit.re.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