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 농업 분야에서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 등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는 데이터 기반 스마트팜 모델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 스마트팜 기술 및 시장 동향과 사업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산업교육연구소는 오는 3월19일에 ‘2021년 스마트팜 정책과 디지털 기술혁신 및 신사업 시장분석(사례) 세미나’를 온라인과 오프라인 동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정부의 스마트팜 정책 로드맵과 디지털 스마트팜 국내외 산업동향 및 우리기업의 대응전략을 시작으로 디지털 농업의 기술트랜드 및 기술핵심과 추진전략을 비롯하여 2021년 스마트팜 사업모델 기술창업과 서비스 전략뿐만 아니라 스마트팜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방안과 연관 신사업 모델에 이르기까지 2021년 스마트팜의 제반정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세미나 주제는 △정부의 스마트팜 정책 로드맵은 무엇인가 △디지털 스마트팜 국내외 산업동향과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농업혁신을 위한 노지 디지털농업 기술동향 및 추진전략 △2021년 스마트팜 디지털 기술트랜드 및 기술핵심은 무엇이며 스마트팜 R&D 추진전략과 현장 실증사례 △2021년 스마트팜으로 성공하는 기업들의 사업 및 서비스 전략은 무엇인가 △2021년 디지털 파밍 사업모델 개발 및 상용화 △2021년 스마트팜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방안 소개 △2021년 스마트팜 연관 신사업 모델은 무엇인가 등이다.
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비대면과 디지털화 물결이 농업 현장에도 예외 없이 흐르고 있다”며 “이번 세미나를 통하여 네덜란드, 미국, 일본 등 다른 농업선진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딘 국내 스마트팜의 실태 및 발전방안을 찾아보는 동시에 농업혁신의 기회를 모색하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또는 전화(02-2025-1333~7)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