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1-03-11 10:34:16
  • 수정 2021-03-11 17:36:41
기사수정

물동량 증대와 선가 상승으로 전세계 조선 발주시황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대형선 수주에 힘입어 수주 1위 자리를 지켰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2월 세계 선박 발주량은 282CGT(92)로 이중 우리나라는 156CGT(43, 56%)를 수주하며 1위를 이어갔다선종 별로는 VLCC 7, A-Max급 5척 등 중대형 유조선 12척 전량을 수주했으며, 12,000TEU급 이상 대형 컨테이너선은 17척 중 13척을 수주하는 등 대형선을 중심으로 수주량을 확대하고 있다.

 

올해 1~2월 국가별 누계 실적은 한국 250CGT(64, 52%), 중국 190CGT(85, 40%), 일본 32CGT(14, 7%) 순이다. 2위 중국과의 점유율 격차는 1월 8%P(韓 47%, 中 39%)에서 2월 16%P(56%, 40%)로 더욱 벌어졌다.

 

지난해 이어진 발주 가뭄도 해갈되고 있다올 1~2월 누계 발주량은 482CGT로 전년동기대비 83% 증가했으며 클락슨 선가지수도 전월 127포인트에서 128포인트로 소폭 상승했다최근 3년간 1~2월 누계 선박 발주량은 2019년 535CGT, 2020년 263CGT로 예년 수준으로 회복이 기대되고 있다.

 

1~2월 선종별 발주량을 살펴보면 12,000TEU급 이상 컨테이너선(150CGT, 25전년동기대비 1,263%140,000㎥ 이상 대형 LNG(17CGT, 2초대형 유조선(VLCC) (38CGT, 9, 124%A-Max급 유조선(16CGT, 6, 23%모두 증가했고, S-Max급 유조선은 아직까지 발주되지 않았다벌크선 발주량은 7CGT(2, 56%)로 감소했다.

 

2월 말 전 세계 수주잔량은 1월 말 대비 78CGT(1%증가한 7,106CGT를 기록했다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570CGT(36%), 한국 2,247CGT(32%), 일본 797CGT(11%) 순이다.

 

전년동기와 비교하면 일본(446CGT, 36%), 중국(256CGT, 9%)은 크게 감소했으나 한국(60CGT, 3%)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지난달보다 1포인트 소폭 상승한 128포인트를 기록했다. 1월 대비 선종별 선가 추이를 살펴보면 초대형 유조선(VLCC) 8,800만달러8,950만달러 S-max 유조선 5,750만달러5,900만달러 A-max 유조선 4,750만달러4,800만달러 컨테이너선(13,000~14,000TEU) 1400만달러1500만달러 LNG(174,000) 18,650만 달러1억 8,750만 달러 등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4458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