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0곳 중 7곳이 오른 원자재값을 납품가에 제때 반영하지 못해 수익성 악화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원자재 가격 및 물류비 상승에 따른 중소기업 영향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중소기업 75.6%는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으며 영향없음(21.7%), 긍정적(2.7%) 순으로 나타났다.
원자재 가격 상승이 영업이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30%~10% 하락(37.4%)의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10%이하 하락(30%), 50~30%하락(21.1%) 100~50%하락(6.6%), 영업손실 전환(4.8%) 순으로 응답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분 판매(납품)가격 반영 여부에 대해서는 45.3%가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일부 반영은 45.7%, 전액 반영한다는 업체는 9.0%에 불과했다.
가격 반영을 하지 못하는 이유(미반영 응답기업)로는 ‘가격 경쟁력 저하(47.8%)’, ‘거래처와의 관계(28.7%)’, ‘장기계약에 따른 단가 변경 어려움(21.3%)’ 순으로 나타났다.
원자재 상승에 따른 대응책(복수응답)으로는 ‘납품가격 조정(42.3%)’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원자재 외 원가절감(28.3%)’, ‘대응방법없음(22%)’, ‘원자재 선구매 및 확보(14.7%)’, ‘원자재 대체(12%)’, ‘납품일자 조정(10%)’, ‘일시적 공장 가동 중단(5.7%)’ 순으로 조사됐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정부 중점 과제(복수응답)로는 ‘원자재 구매 금융·보증지원(36%)’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납품단가 협상지원(34.3%)’, ‘원자재가격 및 수급 정보제공(30.3%)’, ‘조달청 비축 원자재 할인 방출(20%)’, ‘원자재 공동구매 지원(15.3%)’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최근 글로벌 경기가 회복되면서 원자재 수요증가로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납품단가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원자재가격 상승분이 납품단가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에서는 자금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해 원자재 구매 금융·보증 등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