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전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수조원 규모의 신규 R&D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이하 산업부)는 28일 서울 LW컨벤션센터에서 탄소중립 신규 R&D 의견수렴 및 업종별 대응방향 청취를 위한 ‘산업일반분야 탄소중립R&D 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다배출 업종 외 동양피스톤, 삼성중공업, 도레이첨단소재, 대구텍, 대한세라믹스 등 기계, 자동차, 조선 등 산업일반분야 13개 기업과 김상모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산업부 R&D전략기획단,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이 참여했다.
이날 △기업별 탄소중립 체감도 및 대응 준비 현황 △탄소배출 공정의 저탄소 실현을 위한 R&D 수요 △업종별 애로사항 △신규 R&D 사업 관련 의견 청취 등이 진행됐다.
산업부는 지난 2월4일일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보다 체계적인 탄소저감 기술개발을 추진하고자 ‘중장기 R&D 전략’ 수립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산업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현재 수립 중인 탄소중립 중장기 R&D전략에 맞춰, 철강, 석유화학 등 다배출업종을 포함한 전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수조원 규모의 탄소중립R&D 신규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예타는 업종별 특성 및 감축수단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한 것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탄소중립을 위한 공정혁신과 친환경제품으로의 근본적 전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기업의 개별적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원료 탈탄소화, 다배출공정 저탄소화, 공통산업설비 고효율화 기술개발 등 탄소저감 실현을 위해 산업 전반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정부의 적극적인 R&D 지원을 건의했다.
간담회를 주재한 김상모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탄소중립R&D는 여타 R&D와 달리, 기술개발이 최종 목적이 아닌 탄소 감축 목표를 위한 수단으로서 의미를 가지는 만큼, 기술개발부터 실증, 산업계 적용까지 분야별 감축전략의 큰 틀 안에서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며 “산업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공정·기술 등을 면밀히 분석해 R&D전략과 신규 사업 기획에 충실히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