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창사 이래 최초로 분기 영업이익 1조원을 돌파하는데 성공했다.
LG화학은 1분기 경영실적이 △매출액 9조 6,500억원 △영업이익 1조 4,081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은 43.4%, 영업이익은 584% 증가한 실적으로 매출 및 영업이익이 분기 최대치를 갱신했다.
사업부문별 1분기 실적 및 2분기 전망을 살펴보면 석유화학부문에서 매출 4조 4,352억원, 영업이익 9,838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가전, 의료용품, 건자재 등 전방산업 호조에 따른 주요 제품의 수요 강세 및 스프레드 확대에 따른 것이다. 2분기는 여수 제2 NCC 가동과 함께 NB라텍스(NBL), 탄소나노튜브(CNT) 등 고부가 제품의 신규 캐파(CAPA)가동에 따른 매출 성장 및 높은 수익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NBL의 경우 최대 시장인 말레이시아에서 생산캐파를 증설하고 있고. 올해 중국에서 신규 공장을 가동하고 국내에서도 증설을 추진하는 등 2025년까지 생산캐파를 100만톤 이상으로 늘려 리더십을 확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첨단소재부문은 매출 1조 1,719억원, 영업이익 883억원을 기록했다. 양극재 생산 물량 확대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소재의 수요 회복으로 전분기 대비 매출과 수익성이 큰폭 개선됐다. 2분기에도 양극재 공장 신규 라인 추가 가동 및 OLED 소재 출하 확대 등에 따라 매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생명과학부문은 매출 1,619억원, 영업이익 225억원을 기록했다. 제미글로, 유트로핀 등 주요제품의 매출 확대 및 시장 지위 강화로 전 분기 대비 수익성이 향상됐다. 2분기는 소아마비 백신 신제품인 유폴리오의 유니세프 공급이 시작되며 매출 확대가 예상된다.
에너지솔루션은 매출 4조 2,541억원, 영업이익 3,412억원으로 분기 사상 최대 매출 및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전기차 배터리 출하 확대 및 지속적인 수율개선과 원가 절감등으로 수익성을 개선했다. 2분기에는 전기차 판매량 증가에 따른 자동차전지 및 원통형전지 매출 성장이 전망되며, 증설 라인 조기 안정화 및 원가 절감 등을 통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고 있다.
팜한농은 매출 2,109억원, 영업이익 297억원을 기록했다. 코로나 영향으로 수익성이 소폭 감소했다. 최근 원료가 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 등이 예상되지만 작물보호제 및 고부가 특수비료 판매 확대 등으로 전년대비 매출 및 수익성은 개선될 전망이다.
LG화학 CFO 차동석 부사장은 1분기 실적에 대해 “불확실한 대외 환경 속에서도 사업구조를 재편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양극재, CNT 등 전지소재 사업을 확실한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Recycle(재활용) Bio 소재 등 미래 유망 ESG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 및 외부와의 협력을 통한 성장도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