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100대 기업의 해외매출이 전자와 차 부분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두 자릿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은 2019년 기준 매출 100대 기업의 최근 5개년(16년~20년) 연결기준 실적 데이터 분석 결과, 해외매출이 2019년 미·중무역전쟁으로 2.1%, 2020년 코로나 글로벌 경제위기로 5.6% 감소해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분기별로는 지난해 2분기 코로나19로 인한 경기후퇴로 해외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7.7% 감소했다. 3분기에는 중국이 코로나19 쇼크에서 벗어나고 미국 역시 소비 및 고용이 나아지며 전년동기 대비 2.8% 증가했다. 그러나 4분기엔 3차 코로나 대유행으로 전년동기 대비 5.5%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와 자동차·자동차부품을 제외한 에너지·화학, 종합상사, 철강·금속, 조선·기계, 건설·건설자재 등 주력 업종 대부분 두 자릿수 이상 감소했다.
전기·전자는 코로나 팬데믹에 의한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모바일·PC·모바일·반도체·이차전지에 대한 수요 강세에 따라 전년대비 4.0% 증가하며 2019년 부진에서 벗어났다. 자동차·자동차부품은 2분기 북미·유럽 완성차업체 생산중단 사태 발생으로 7.1% 감소했다. 에너지·화학은 저유가에 따른 업황 부진과 정제마진 약세로 26.3% 감소했으며, 철강·금속은 수요산업 침체에 따른 판매량 급감으로 12.1% 감소했다.
지역·국가별 해외매출을 발표하는 상위 20대 기업의 지역별 실적 집계 결과에선, 지난해 중국 ·아시아 지역의 해외매출이 전년대비 13.8% 감소해 가장 크게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우리 주요기업의 글로벌 생산거점이자 최대 비즈니스 대상국과 지역인 중국, 인도, 베트남 등 아시아 신흥국의 ‘19년 대비 20년 실질성장률 감소폭이 6.3%P로 상대적으로 컸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동 수치에 미국은 5.7%P 하락, 일본은 4.8%P 하락했다.
미국은 3분기부터 코로나19 경제활동 제한을 완화하며 연간 경제성장률이 3분기 33.1%, 4분기 4.0%를 각각 기록하며 전년대비 5.0% 증가했다.
유럽은 하반기부터 경제봉쇄조치가 완화돼 반도체, 유럽 자동차 OEM업체의 배터리 판매 개선으로 전년대비 0.6% 감소하는데 그쳤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변종바이러스 출현과 백신 공급 불안에 따른 4차 대유행으로 해외비즈니스 여건이 불안하다”며 “아시아 신흥국에 대한 시장접근개선을 위해 통상당국이 한-인도네시아 포괄 경제동반자 협정(CEPA) 비준 발효,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비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 여건 조성 등 적극 통상전략을 전개해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