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올여름 폭염에 대비해 홀몸 어르신 등 기후변화 취약층 3000여가구 및 시설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
지원에 해당하는 기준은 저소득 가구나 노인, 어린이, 홀몸어르신의 경우 야외근로 등의 특수 직업층이다.
우선 시민단체와 기업 등 민관이 협력해 기후변화 취약가구 지원과 폭염대응 홍보활동을 펼친다. 한국기후, 환경네트워크 등 시민단체와 BGF리테일, 제주개발공사, 테라사이클, 형지 I&C를 지원하는 기업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전국 53개 시군구의 취약가구 2000곳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진단 컨설턴트와 함께 생수, 토시, 양산, 부채, 간편죽 등을 지원한다.
기후변화 컨설턴트는 취약가구에 폭염대응물품 전달과 연계, 비대면(유선전화)방식을 활용해 폭염대비 행동요령을 안내할 예정이다.
행동요령은 △더운 시간대 휴식하기 △시원한 옷차림(쿨맵시)과 양산쓰기 △물 자주 마시기 △식중독 예방하기 △주변 사람 건강 살피기 등이다.
또 홀몸 어르신 등 320가구에 창문형 냉방기기 설치를 지원하고 833곳 건물 옥상 및 외벽 등에 차열도장(쿨루프 등)을 지원하는 등 전국 37개 지자체의 1,141개 가구 및 시설에 맞춤형 기후변화 적응시설(쿨루프, 기후친화형 어린이 쉼터, 실내환경개선, 차열벽면 등)을 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취약계층 50가구(홀몸어르신)에 창문형 냉방기 지원과 함께 실내환경진단 개선 및 진료지원 등 환경복지서비스를 연계, 지원할 예정이며 결과를 분석해 내년부터 확대할 예정이다.
이병화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은 사회경제적 약자에게 더 큰 피해를 준다”며 “취약계층에 대한 현장 중심의 다양한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