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0-08-06 20:11:14
기사수정

▲ ▲국내 주요 LED업체 2010년 2분기 경영실적 (단위: 억원) . ▲국내 주요 LED업체 2010년 2분기 경영실적 (단위: 억원)


올해 2분기 LED업체들의 경영실적은 LED TV 수요의 급증과 LED 공급부족 등으로 인해 빛을 발했다.

최근 2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한 주요 LED업체를 살펴보면 업계 매출 1위인 삼성전기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으로 1조9.065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44.8% 증가한 것으로 기판, OMS(광·모터), LCR(칩부품), CDS(파워·무선고주파)사업부 모두에서 고른 매출 증가를 이룬 결과다.

LED부문에서는 시장의 급성장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BLU)용 LED 물량 확대와 일반 조명 및 자동차 등 신규시장 수요 가시화로 매출이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11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39.3% 증가했으며 같은기간 당기순이익도 1,801억원으로 121.5% 늘어났다.

LG이노텍은 LED사업부문 매출이 큰 폭으로 성장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분기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매출액은 1조287억원으로 이는 전년동기 대비 104.4% 증가한 것이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323.9% 증가한 861억원, 당기순이익은 1,01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77.9% 증가했다.

LED사업부문은 TV용 BLU 시장호조로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375% 늘어난 2,851억원을 기록했다.

모바일용 LED는 수요 감소로 인해 전기대비 감소했으나 조명용 LED는 패키지 및 일반조명 물량 증대로 상승했다.

회사는 3분기에도 LED TV 수요 증가 및 모니터 물량 지속 증가로 인해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한솔LCD는 매출액 3,800억원을 올려 젼년동기 대비 37.3%의 증가를 나타냈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무려 588% 성장한 64억원을 달성했다. 같은기간 당기순이익은 83억원으로 75.7% 증가했다.

이같은 실적은 가격이 높은 LED BLU의 비중이 크게 늘고 고객사 내에서의 점유율이 상승했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회사가 2분기 자회사로 편입한 LED용 사파이어 기판 제조업체 ‘크리스탈온’이 하반기 양산을 앞두고 있어 매출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서울반도체의 2분기 경영실적은 모두 분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휴대폰, 조명, TV, 노트북 등 전 영역에 걸친 고른 매출 증가 속에 전년동기 대비 85.7% 늘어난 2,15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9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40% 증가했다. 이와 같은 증가의 원동력은 제품 Mix 개선과 지속적 원가절감 노력이었다.

당기순이익도 크게 증가해 319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210.6% 증가한 수치다.

회사는 휴대폰에서 TV에 이르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두 자릿수 이상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며 3분기 성수기를 맞아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반도체는 최근 세계적인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스트래지티 언리미티드(Strategies Unlimited)’에서 선정한 글로벌 4위 기업이기도 하다.

한국단자공업은 올해 2분기 908억원의 매출을 올려 젼년동기 대비 85.7%의 증가를 나타냈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51% 증가한 84억원을 기록했으며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8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86.7% 증가를 나타냈다.

광전자는 올해 2분기 매출 534억원, 영업이익 44억원, 당기순이익 38억원을 올렸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각각 37.4%, 62.5%, 538.6% 증가한 수치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459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