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팩토리, 빅데이터, AI,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공장 솔루션, 스마트 센서 등 스마트팩토리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전시에 스마트혁신제조센터(Smart Manufacturing Innovation Center, 이하 SMIC)가 참여, 제조업의 디지털 혁신 전환에 대한 청사진을 제공했다.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 자동화 사업전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이 8일부터 10일 코엑스 A,B,C,D홀에 걸쳐 성황리에 개최됐다. 500개 업체, 1800부스, 45000여명이 참관한 이번 행사는 △스마트공장엑스포 △국제공장자동화전 △한국머신비전산업전으로 나뉘어 구성됐다.
SMIC는 스마트제조 핵심기술을 실제 공장에 적용하기 전에 사전 시험 인증할 수 있는 글로벌 표준 기반의 실험형 공장(테스트베드)이다.
이번 전시에서 SMIC는 주요 혁신 기술 및 첨단 공정을 선보였다. 전시를 통해 △혁신데이터 센터 △Digital twin 기반의 정밀 가공 장비 가상 시운전 △XR기반 제조설비 디지털 운영시스템 구축 △가상시뮬레이션 적용 스마트 워크벤치 △5G in Manufacturing △SBB장비 등이 전시 됐다.
데이터센터의 경우에는 5G 및 TSN으로 연결되어 외부 혹은 내부 공장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AI, 딥러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디지털트윈은 공장의 경우, 생산라인의 정보를 IT공간에 모사하여 개발과정을 단축시키고 효율적 라인을 운영하게 한다. 제품설비에 들어가는 볼트부터 프레임재질의 물리적인 특성까지를 모두 관리할 수 있다. 하네스의 경우에는 제품개발, 생산, 서비스 전체 생애주기를 위한 디지털 모델의 상호운용을 지원, 제조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킨다.
스마트워크벤치는 작업자의 생산 오류를 감소시키고, 생산품질을 향상한다. 숙련도가 낮은 작업자가 효과적으로 생산과정을 숙지할 수 있게 돕는다. 증강현실 및 빅데이터 협동로봇을 적용해 수소차 매니폴드 양산라인에 적용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이 2배 향상되는 효율을 얻었다.
5G in Manufacturing에서는 Industrial AI, Industrial IoT, Remote Maintenance, Industrial AR 기술이 전시됐다.
SBB 장비는 다양한 생산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모듈형 생산방식 Plug&Produce 기술을 활용해 재구성이 가능한 규격화된 생산장비시스템이다.
Plug&Produce가 구현된 모듈형 생산장비는 블록조립과 같은 방법으로 손쉽게 공정변경이 가능해 어떤 생산방식 변경에도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그밖에도 산업인공지능 전문인력양성사업에 참여중인 석박사 연구생들의 산업인공지능 세미나 주제발표 등 프로젝트 연구발표 등도 진행됐다.
한편, SMIC안산은 제조의 미래비전을 제시하는 미래형 모델 공장으로서 AI, 5G, 산업용 IoT, CPS 등 첨단기술을 제조현장에 적용하기전, 시험 및 평가할 수 있는 글로벌 표준 기반의 테스트 베드다.
SMIC 창원은 스마트제조공정혁신센터로 디지털 트윈기반 가공특화 테스트베드로써 국제표준 상호운용성 규격 기반의 제조공정 모듈 및 핵심 부품의 평가 시스템을 구축한다.
판교 R&D센터는 표준 규격 기반의 스마트팩토리 요소기술 R&D 및 스마트팩토리 인력양성 교육과정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