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967억원을 투입해 해외 기관과의 기술협력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국내 산·학·연과 해외 우수 R&D 기관과의 국제공동연구개발을 지원하는 2022년도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14일 공고했다고 밝혔다.
올해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은 탄소중립, 글로벌 공급망(이하 GVC) 재편 등에 대응하기 위해 사업예산을 지난해 819억원에서 18% 확대한 967억원으로 증액했으며, 이 중 신규예산은 138억원이다.
이번 사업은 △양국 정부 공동으로 R&D 자금을 지원하는 양자 공동펀딩형 R&D(346억원) △유레카(EUREKA) 등 다자 간 R&D 협력플랫폼에 참여해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다자 공동펀딩형 R&D(249억원) △국내 기업의 핵심기술 확보 및 GVC 진출을 연계하는 글로벌 수요연계(112억원) △기술도입형 R&D(33억원) 등을 지원한다.
올해 새로 추진하는 사업을 살펴보면, 세계 최대의 R&D 협력플랫폼인 ‘유레카’ 내에 우리나라와 영국, 덴마크, 캐나다 등 16개국이 참여해 올해 신설한 ‘지속가능한 산업(Sustainable Industry)’ 프로그램을 통해 탄소중립 국제협력 R&D를 본격적으로 지원한다.
또한 독일, 프랑스 등 36개국이 참여해 운영중인 이하 소부장 분야에 특화된 ’메라넷(M-era.net)‘ 공동연구플랫폼에 우리나라가 신규로 참여해 기술 선도국과의 소부장 기술협력을 고도화한다.
디지털 전환, 첨단기술 등 핵심기술 조기 확보를 위해 해외 기술도입 전문기관을 신규로 지정, 해외 우수기술 발굴, 인수계약 지원 등 기술도입 전과정을 밀착 지원한다.
통합공고의 상세한 내용은 산업부 홈페이지(www.motie.go.kr),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www.kiat.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16일(수) 15시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노건기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산업부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환경 속에서 우리 기업이 글로벌 R&D 협력을 통해 기술 고도화와 국제표준을 주도하고 세계 시장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