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더 스마트하고 친환경적인 산업단지 구축을 위해 스마트그린산단 사업단을 출범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은 울산미포 국가산단에서 15일 ‘울산미포 스마트그린산단 사업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출범식은 작년에 지정된 ‘울산미포, 부산명지녹산, 전북군산 스마트그린산단 사업단’의 첫 출범식으로서, 2월16일에는 부산명지녹산 산단, 2월23일에는 전북군산 산단에서 출범식이 개최될 예정이다.
‘스마트그린산단’은 노후 산단 인프라 개선 위주의 과거 정책에서 벗어나 산단을 스마트화·그린화하여 각 지역의 핵심거점으로 만들기 위해 추진 중인 정책으로, 산단을 경쟁력 있고 친환경적인 공간으로 바꾸고자한다.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하여 추진하며, 이번에 출범하는 사업단은 산업단지공단과 지자체 파견 공무원으로 구성되어 정부-지자체-입주기업 간의 가교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물류플랫폼, 통합관제센터 등과 같은 스마트그린산단 핵심사업을 전담하여 추진함으로써 스마트그린산단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지난 2020년 9월 대통령 행사를 통해 창원 산단에서 스마트그린산단 추진전략을 발표한 이후로, 반월시화·경남창원·인천남동·대구성서 산단 등 10개의 스마트그린산단을 지정한 바 있다.
추진 3년 차인 현재까지 37개소에 공정혁신시뮬레이션센터 등과 같은 스마트그린산단 핵심인프라 구축을 진행했으며 1,200여건의 기업 지원 활동을 수행하고, 9,000여명의 학생과 재직자를 대상으로 스마트제조 관련 교육을 실시했다.
구미 산단의 반도체 제조업체는 소부장지원센터를 통해 생산성이 25% 향상됐고, 창원 산단의 항공부품 제조업체는 스마트제조데모공장을 통해 8단계의 공정을 3단계로 개선하여 공정시간을 68% 단축하는 등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과들을 창출하고 있다.
황수성 산업부 산업혁신성장실장은 “우리를 둘러싼 저탄소 경제와 디지털 전환 등의 과제들에 대응해 나가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역량을 집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산업부도 저탄소화·디지털화라는 정책환경 변화에 맞춰 기업들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산단 업그레이드 정책을 계속해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