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이 연산 10만톤의 전구체 공장 신설 투자에 나서며 국산화율을 높이고 배터리소재 원료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포스코케미칼은 전라남도 및 광양시와 광양시청에서 민경준 사장, 김영록 전라남도지사, 정현복 광양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투자 협약식을 가졌다고 7일 밝혔다.
포스코케미칼은 올해부터 약 6,000억원을 투자해 광양시 세풍산업단지 20만여 ㎡부지에 연산 10만톤 규모의 전구체 공장 건설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전구체 10만톤은 전기차 배터리 120만 여대에 필요한 양극재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이번 투자는 양극재 사업의 원료 경쟁력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장 기회를 선점하기 위함이다. 전구체는 배터리 핵심소재인 양극재의 중간 원료로,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등 광물을 가공해 제조한다. 양극재 원가에서 6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원료 공급망의 안정성이 중요해지며 국내 생산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QYResearch Korea에 따르면 전구체는 2020년 기준 국산화율이 13.9%로 국내 배터리 산업은 대부분 중국에 공급을 의존하고 있다. K-배터리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내 생산을 더욱 높여야 하는 소재이기도 하다.
한편, 포스코케미칼은 전구체 생산 능력을 올해 1만5000톤에서 2025년 18만5000톤으로 확대해, 자체 생산 비율도 33%에서 67%로 높일 계획이다. 2021년 화유코발트와 합작해 중국에 연 3만5000톤의 전구체 공장 건립에 나섰으며, 포스코그룹의 니켈 광권 확보, 리사이클링 등 원료 사업과 연계해 전구체 생산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공장 건립이 완료되면 포스코케미칼은 광양만권내 양극재 사업의 전체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효율성을 더욱 높이게 된다. 광양에는 올 5월 단일공장 기준 세계 최대인 연 9만톤 규모로 준공할 양극재 공장, 리튬 원료를 생산하는 포스코리튬솔루션,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으로 원료를 공급하는 포스코HY클린메탈 등 이차전지소재사업이 집적되어 있다.
포스코케미칼 민경준 사장은 “배터리 산업 생태계 구축을 적극 지원하고 있는 전라남도, 광양시와 함께 양극재 사업의 전체 밸류체인을 완성하고 K-배터리 산업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