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내수 자동차 판매가 증가세로 돌아서며 내수 신차시장에 훈풍이 불기 시작했지만 일 정부의 보조금 정책에 의한 일시적 효과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지난달 경차를 제외한 자국 내 신차판매 대수가 1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며 신차시장에 밝은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지난 2일 보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친환경차, 이른바 ‘에코카’로 차량을 교체할 경우 지원되는 세금 우대와 보조금 제도 등 일본 정부의 지원책으로 조성된 ‘에코카 붐’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지원이 종료되면 수요가 급속히 줄어들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신문에 따르면 지난달 판매가 증가한 것은 도요타자동차나 혼다 등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에코카에 강점을 가진 4개사로 이들 차량에는 자동차중량세와 취득세가 100% 감면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하이브리드차가 없는 닛산자동차, 마쯔다 등 4개사는 지난해 실적에 미치지 못했다.
도요타나 혼다 역시 판매가 호조를 보이는 차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감세대상 차종에 한정돼 있다. 특히 혼다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인사이트’나 소형차 ‘피트’ 등 3종의 판매대수가 전체의 70%를 넘어, ‘팔리는 차’와 ‘안 팔리는 차’로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 신문은 도요타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프리우스‘는 현재 수주대수가 25만대를 넘고 있다고 전하고 지금 주문해도 인도는 보조금지급 기한인 내년 3월 말을 넘기게 되며 이 때문에 판매 증가세도 한 풀 꺾였다는 관계자의 말을 인용했다.
정부지원책이 끊어진 후 시장의 급락을 경계하는 목소리가 강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상용차 등 화물차 부문은 33.8% 감소라고 하는 저조세가 지속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 일본자동차판매협회연합회는 “경기동향을 강하게 반영하는 상용차 판매가 되살아나지 않는 한 자동차시장의 본격적인 회복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다고 신문은 전했다.